‘선대위 가동’ 평화당, ‘인재영입·지지율 반등’ 두 마리 토끼 잡을까
평화당, 원내 정당 중 가장 빠른 선대본부 전환
선대위·인재영입위원회 투트랙 후보영입 박차
민주평화당은 11일 당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를 통해 선거대책위원회(선대위)의 구성방안을 내놨다. 평화당은 이날 선대위 구성을 통해 본격적인 지방선거 체제로 탈바꿈한다. 한 자릿수에 멈춰있던 지지율 반등까지 노리겠다는 포석이다.
최경환 평화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회의직후 기자들을 만나 “창당대회 때 선출된 김경진 상임선대위원장을 중심으로 18일 선대본부 출범식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선거대책본부에 직능, 조직, 홍보, 전략기획 등 7~8개 본부를 설치한다. 원내 정당 중 가장 빠른 선대본부전환이라는 것이 평화당의 설명이다.
김형구 평화당 부대변인은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얼추 틀은 갖춰졌다. 이미 알려진 대로 확정만 지으면 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공식적으로 공동선대위원장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김경진 상임선대위원장과 더불어 조배숙 대표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평화당의 발 빠른 행보는 후보난항과 저조한 지지율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김 부대변인은 조기 선대위 전환과 관련해 “지지율과 후보영입문제에서 어려움이 크기 때문”이라며 “광역단체장이 없지 않나”고 했다.
평화당은 창당 이후 한 자릿수 지지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신생정당과 지역정당이라는 마이너스 요소가 겹쳐진 이유다. 지방선거를 64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지지율 반등이 반드시 필요하다.
평화당은 선대위를 통해 후보영입과 지지율 상승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챙기려는 것으로 보인다. 정동영 의원을 중심으로 한 인재영입위원회와 더불어 선대위를 투트랙으로 인재영입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생각이다.
조 대표 또한 “광역에서 후보가 형성되면 지지율도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선대위 구성에 힘을 실었다.
당 내부에서도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김 부대변인은 “지금은 선대위 뿐만 아니라 의원들 모두가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호남은 물론 서울, 경기 지역에는 반드시 후보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