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5·18 정신 강조 “헌법 전문 담을것”
朴정부 당시 여론조사 “5·18 왜곡 심하다”
MB·朴정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논란
文정부 5·18 정신 강조 “헌법 전문 담을것”
朴정부 당시 여론조사 “5·18 왜곡 심하다”
MB·朴정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논란
18일, 5·18 광주민주화운동 제38주년을 맞아 정치권 인사들의 기념식 참석이 이어지는 가운데, 민주화 운동에 대한 확실한 의의 정립 필요성이 제기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작년 5월 18일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5·18이 ‘민주화 운동’이었음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광주의 희생이 있었기에 우리의 민주주의가 버티고 다시 일어났다”며 “민주화 운동과 촛불 혁명의 정신을 받들어 이 땅의 민주주의를 온전히 복원할 것이다”라 강조했다. 나아가 5·18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문제는 정권 차원의 노력과 ‘민주화 운동’이라는 명칭에도, 우리 사회 일각에서는 여전히 5·18에 대한 여러 시선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정치권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치권부터 확실하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지 못했다는 것.
박근혜 전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은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에 취임 첫해만 방문했다. 또 5·18 민주화 운동 때 희생된 영령들을 기리는 노래인 ‘임을 위한 행진곡’ 역시 논란이 됐다.
이명부 정부 당시 국가보훈처는 5·18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제외하려 했다. 박근혜 정권 때는 참석자 모두가 같은 멜로디로 부르는 ‘제창’에서 멜로디를 각기 다르게 부르며 참석자 모두에게 부를 것을 요구하지 않는 ‘합창’으로 변경했다.
박 전 대통령 재임 시기인 2013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국민 2명 중 1명은 ‘최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역사적 왜곡과 비방이 심각하다’고 답했다.
5·18기념재단이 2013년 5월 10~13일 여론조사기관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700명을 대상으로 5·18 민주화 운동 인식조사를 한 결과 국민 57%가 ‘최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역사적 왜곡과 비방이 심각하다’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했다.
5·18 민주화 운동이 갖는 무게에 대해 정권마다 경중의 차이가 느껴진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가운데, 문 정부의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노력에 관심이 쏠린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