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남북고위급회담…탈북종업원 송환 ‘복병’
철도연결·연락소 설치·적십자회담 등 일정 논의
北, 협상 前 대남압박 패턴…“판 깨지 않을 듯”
철도연결·연락소 설치·적십자회담 등 일정 논의
北, 협상 前 대남압박 패턴…“판 깨지 않을 듯”
무기한 연기됐던 남북 고위급회담이 오늘 1일 재개되는 가운데, 북한이 또다시 탈북종업원 송환 등 민감한 문제를 제기하며 향후 남북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남북은 1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수석대표로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고위급회담을 개최한다. 이날 회담에서는 남북 정상 간 합의한 4.27 판문점 선언 후속조치가 큰 틀에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로서는 연락사무소 설치, 6.15 공동행사 등 남북공동 사업부터 적십자·군사당국자·체육회담 등 후속회담 일정 조율, 철도·도로 연결과 산림협력 등 경제협력 방안이 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회담에 앞서 연일 민감한 현안을 빼들며 대남공세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대남 비판용 단골 메뉴인 한미연합훈련 중단부터 남남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탈북종업원 기획탈북 의혹까지 비난의 수위를 높여왔다.
남북 정상 간 2차 만남을 통해 어렵사리 재개된 남북고위급회담이 또다시 영향을 받을지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이번 고위급회담에서 4.27 판문점선언의 후속조치 외에 민감한 현안들이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그동안 북한이 민감한 이슈를 협상력 제고 수단으로 이용해온 만큼, 이번 남북회담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고위급회담을 앞두고 북측이 또다시 트집잡기에 나서며 향후 남북 일정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와, 경제적 보상 등 협상 목표를 이루기 위해 대화의 판을 완전히 깨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교차한다.
또다른 관전포인트는 남북 경제협력 논의가 어느 정도 진행되느냐다. 남북 정상은 이번 판문점 선언에서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들을 연결하고 현대화하여 활용하기 위한 실천적 대책들을 취해나가기로 했다"고 합의했다. 고위급 대표단에 우리측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과 북측 김윤혁 철도성 부상이 포함되며 관련 논의가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판문점선언에 언급된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과 6.15 공동행사, 8.15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를 두고 전반적인 협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북한이 탈북 여종업원의 강제 송환을 주장하고 있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 향배에 귀추가 주목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