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자동차 관세폭탄 조짐에…당정 "총력 대응할 것"
"관세 부과 막기 위해 모든 역량 동원"
74조원 손실 예상…당정청 협의 개최키로
"관세 부과 막기 위해 모든 역량 동원"
74조원 손실 예상…당정청 협의 개최키로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국산을 비롯한 수입자동차에 고관세를 부과할 조짐을 보인 데 대해 조만간 당·정·청 협의를 열어 총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당정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대미 자동차 통상분쟁 대응 당정 간담회'를 열었다. 홍익표 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른 시일 안에 비공개로라도 당·정·청 회의를 열어 종합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당정은 미국의 관세 부과를 막기 위해 모든 역량을 동원할 계획이다. 김태년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민관이 힘을 모아 관세 부과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해야 한다"면서 "우리나라가 부과 대상에 포함된다면 자동차 산업에 막대한 피해다. 25%의 관세가 부과된다면 수출 손실이 최대 662억 달러, 우리 돈으로 7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자동차 산업은 고용의 12%를 차지하고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높아,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생각한다"며 "정부는 이러한 엄중한 상황을 인식해 모든 가용한 자원을 동원해 차분하고 치밀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 장관은 "조만간 있을 공청회 등 공식 절차에 적극 나서고 민관합동 사절단을 파견해 영향력 있는 인사들을 대상으로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며 "조치 현실화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도 말했다.
김용근 자동차협회장도 "만약 미국이 수입차와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면 우리 대미수출도 가격 경쟁력을 원천적으로 상실할 수밖에 없다"며 "한국GM 사태에서처럼 고임금 구조로 취약해진 상황에서 자칫 주요 자동차 생산국이라는 입지까지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이날 협의에는 민주당에선 홍익표 정책위 수석부의장, 정부에선 산업통상자원부 백운규 장관과 강성천 통상차관보 등이 참석했다. 김용근 자동차산업협회 회장, 최종 한국GM 부사장, 오직렬 르노삼성 부사장 등 업계 관계자도 자리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