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남비난 수위 높이는 北, 제재완화 압박…판 깨진 않을 듯


입력 2018.07.24 10:29 수정 2018.07.24 10:35        박진여 기자

8월 이산가족 상봉 행사 앞두고 탈북종업원 송환 제기

“南 민생파탄” 文 대통령 비난…남북경협 속도 불만

“文정부 지렛대 삼아 대북제재 정국 돌파 목적” 촉각

지난 두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 관계가 본격적인 해빙무드에 접어드나 싶더니, 북한이 또다시 전방위적 대남공세를 재개하고 있어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자료사진) ⓒ데일리안DB

8월 이산가족 상봉 행사 앞두고 탈북종업원 송환 제기
“南 민생파탄” 文 대통령 비난…남북경협 속도 불만
“文정부 지렛대 삼아 대북제재 정국 돌파 목적” 촉각


지난 두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 관계가 본격적인 해빙무드에 접어드나 싶더니, 북한이 또다시 전방위적 대남공세를 재개하고 있어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북한으로서는 결국 판문점 선언에서 약속한 남북 간 경제협력 속도가 더딘 데 대해 불만을 표시하는 것으로, 교류협력 성과를 이루기 위해 대화의 판을 완전히 깨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북한 매체들은 최근 집단 탈북 종업원 송환 문제를 거론하며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무산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동안 관련 접촉에서 탈북 종업원 송환 여부를 문제시 삼지 않던 북한이 행사를 불과 한 달여 앞두고 민감한 현안을 제기하며 예정대로 행사가 진행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문재인 대통령을 겨냥해 비난하기도 했다. 북한 노동신문은 문 대통령의 '싱가포르 렉처' 발언을 두고 "갑자기 재판관이나 된 듯이 조미공동성명의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경우 그 누구가 '국제사회로부터 엄중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감히 입을 놀려댄다"며 "허황한 운전자론에 몰입돼 쓸데없이 훈시질을 해대는 것은 조선반도 평화 과정에 풍파를 일으키고 불행한 결과만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여기서 '그 누구'는 문재인 대통령을 지칭한 것으로, 북 매체가 문 대통령이나 남측 당국을 직접적으로 비난한 건 남북 대화 국면에서 이례적이다. 특히 "남조선 당국은 말로는 판문점 선언의 이행을 떠들고 있지만 미국 상전의 눈치만 살피고 있다"면서, 대북제재를 의식해 남북교류에 속도를 내지 않고 있는 문 정부에 대한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남측의 경제정책에 대해서도 비난이 이어졌다. 노동신문은 "남조선 경제위기로 수많은 기업체가 문을 닫거나 합병되는 통에 노동자들이 무리로 해고되어 실업자로 전락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금 남조선에서는 경제위기의 영향 속에 기업경영에서 실패한 중소기업가들, 생활난에 시달리고 빚에 쫓기던 수많은 사람이 사회현실을 저주하며 자살하고 있다"고 극단적인 논평을 이어갔다.

북한이 대남 비판용 단골 메뉴인 탈북종업원 기획탈북 의혹부터 남측 정부, 경제·민생 사안까지 비난 수위를 높여가는 모습이다. 남북 정상 간 판문점 선언으로 급진전했던 남북관계가 다시 경색국면에 접어드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북한은 앞서 산림·철도·도로 협력 등 관련 회담에서 우리 측이 제기한 안건에 대해 몇 차례 불만을 표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에 비핵화 협상 조건으로 경제적 번영을 주요하게 내세운 북한이 문 정부를 지렛대 삼아 대북제재 정국을 돌파하려는 의도로도 해석된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