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차 배터리 생산력 확대...2020년 90GWh 이상
전기차 배터리 수주 잔고 60조 돌파...4Q 흑전 예상
전지사업 강화...2년 뒤 전지 연 매출 14조 목표
전기차 배터리 수주 잔고 60조 돌파...4Q 흑전 예상
전지사업 강화...2년 뒤 전지 연 매출 14조 목표
LG화학이 자동차 배터리 생산력 확대에 적극 나선다. 수주 잔고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4분기 흑자전환으로 수익성도 개선되고 있는데 따른 조치로 이를 통해 전지사업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포석이다.
정호영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사장)은 24일 오후 진행된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올해 말 기준 생산캐파가 35GWh(기가와트시)에서 오는 2020년말까지 70GWh로 증가를 예상했지만 현 시점에서 증가한 수주 잔고를 고려할 때 90GWh 이상을 준비해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현재 세부계획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전기차 시장 확대로 자동차 제조사들의 프로젝트 발주 규모가 늘어나면서 수주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LG화학은 지난 6월 말 기준 전기차 배터리 수주 잔고가 60조원을 돌파해 지난해 42조원 수준을 넘어선 상태다.
LG화학은 국내 오창 공장을 비롯, 미국 미시건, 중국 난징, 유럽 폴란드 등 전 세계 각 지역에 전기차 배터리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시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난징에 20억달러(약 2조3000억원)를 투자해 32GWh 규모 제2 배터리 공장 건설 계획도 밝힌 바 있다.
이같은 적극적인 투자를 통한 생산캐파 확대는 수익성 개선과도 맥이 닿아 있다. 연내에 전기차 배터리 사업이 적자에서 탈피해 흑자로 올라설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에 적극적인 생산력 확대를 통해 매출과 수익성을 동반 개선해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회사측은 "자동차 배터리 부문은 수익성 측면에서는 4분기 손익분기점(BEP)에 도달할 것"이라며 "분기별로 등락이 있겠지만 전반적으로 수익성이 지속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LG화학은 올해 전기차 배터리 부문 연간 매출을 2조8000억원 수준으로 예상하면서 오는 2020년에는 8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차 배터리의 성장을 중심으로 전지사업 부문 전체 규모도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측은 "전지사업부문 전체로는 올해 6조4000억원 매출에서 오는 2020년까지 약 14조원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LG화학은 2분기 전지부문에서 매출 1조4940억원과 영업이익 270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매출 달성과 전분기 대비 수익성을 개선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기차 판매 확대에 따른 자동차전지 매출 확대 및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성장, 소형전지의 신규 시장 확대 등에 따른 것으로 하반기에도 전기차 판매 확대와 소형전지 신제품 출시 효과 등으로 매출과 수익성의 동반 개선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