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BBQ, 인테리어 비용 업계 최고지만...계열사에 일감쏠림 구조 여전


입력 2018.08.28 06:00 수정 2018.08.28 11:19        최승근 기자

인테리어비용 평당 231만원으로 주요 5사중 가장 높아

BBQ, 5사 중 유일하게 인테리어 전문 계열사 운영…외부 업체 시공 시 감리비용 최고

서울 시내 한 매장에서 고객들이 치킨을 즐기고 있다.ⓒ제너시스BBQ

국내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 중 BBQ의 인테리어비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맹본사가 지정해주는 업체 외에 다른 업체와 인테리어 계약을 할 경우 본사에 지불하는 감리비용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돼 점주들의 선택 폭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거래 사이트에 올라온 정보공개서를 분석한 결과 BBQ, BHC, 교촌치킨, 굽네치킨, 네네치킨 등 5곳의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 중 BBQ의 인테리어비용이 가장 높았다.

BBQ는 올리브치킨 매장 기준 3.3㎡ 당 인테리어비용이 231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어 교촌치킨이 220만7000원, 굽네치킨이 220만원, BHC가 176만원, 네네치킨이 132만원으로 조사됐다.

인테리어비는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주요 수익원 중 하나다. 각 매장에서 로열티를 받아 수입을 올리는 외국과 달리 국내에서는 인테리어나 식자재 유통 과정에서 일정 부분 마진을 붙여 수익을 내고 있다. 인테리어 비용의 경우 가맹본부와 계약을 맺은 업체가 매장 인테리어를 담당하고 본사는 일정 부분 마진을 받는 식이다.

과거에는 가맹본사가 인테리어를 담당하는 별도의 계열사를 만들어 이 회사에 일감을 몰아주는 방식으로 수익을 올렸다가 공정위 등 정부 제재를 받기도 했다.

이 때문에 가맹본부 입장에서는 주요 수익원 중 하나지만 점포를 운영하는 점주 입장에서는 인테리어 비용이 불합리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정부의 일감 몰아주기 제재 이후 치킨 프랜차이즈들은 본사 지정 업체 외에 점주가 다른 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혔다. 다만 일부 업체들은 지정 업체 외 다른 업체에서 인테리어를 시공할 경우 설계 및 감리 대가로 추가 비용을 본사에 납부토록 하고 있다.

5사 중에서는 정보공개서를 공개하지 않은 교촌치킨과 네네치킨을 제외하고 BBQ의 감리 비용이 가장 높았다. BBQ는 다른 업체와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할 경우 6평까지는 1평(3.3㎡) 당 기준 16만5000원(부가세 포함), 6평 초과분에 대해서는 33만원(부가세 포함)을 인테리어 공사 완료 후 3일 이내 본사에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BHC는 1평당 22만원으로 설계 및 감리비를 책정하고 있으며 최대 330만원을 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굽네치킨은 점주의 자율에 맡기고 별도의 비용을 받지 않고 있다.

BBQ 점주가 36평 기준 매장의 인테리어 공사를 외부에 맡길 경우 점주는 공사비 외에 본사에 설계 및 감리비용으로 1089만원의 비용을 더 부담해야 한다. 같은 조건일 경우 BHC는 330만원으로 3배 이상 차이가 난다.

이렇다 보니 점주 입장에서는 자신의 지인이나 아는 인테리어 업체에 공사를 맡기려고 해도 가맹본사가 지정해주는 곳에 비해 1000만원 이상 비용이 저렴하지 않으면 비용 부담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본사가 지정해준 업체가 계약을 할 수 밖에 없다. 경쟁 치킨 프랜차이즈에 비해 기본 인테리어 비용도 높은 데다 타 업체와 계약할 수 있는 점주 선택의 폭도 좁은 셈이다.

특히 BBQ는 5사 중 유일하게 가맹본사 내 매장 인테리어를 전문으로 하는 계열사를 두고 있어 내부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의혹을 여전히 받고 있다.

BBQ는 그룹 내 인테리어공사, 주방기구, 주방용품, 가구 판매업을 하는 100% 자회사 지엔에스디자인앤시스템을 두고 있다. 주로 BBQ 매장의 인테리어 공사를 통해 수익을 올리는 지엔에스디자인앤시스템은 지난해 75억6285만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는데 당기순이익은 12억401만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내리 적자를 이어오고 있다.

앞서 BBQ는 지난해 윤홍근 회장의 아들 혜웅씨가 최대주주로 있던 에이치와이인터내셔널을 통해 가맹점에 올리브유를 유통하면서 이득을 챙겼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공정위 조사를 받은 바 있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