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바른미래당, '정체성 논란' 잔혹사…치명적 아킬레스건 될까


입력 2018.09.07 15:16 수정 2018.09.07 16:36        이동우 기자

손학규 지도부, 일주일 만에 판문점 비준 불협화음

안철수계와 유승민계 갈등…정체성 논란 대리전

통합부터 삐걱거린 정체성 문제…발목잡힌 바른미래당

손학규 지도부, 일주일 만에 판문점 비준 불협화음
안철수계와 유승민계 갈등…정체성 논란 대리전
통합부터 삐걱거린 정체성 문제…발목잡힌 바른미래당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바른미래당이 통합 이후 끊임없는 정체성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국민의당의 중도 성향과 바른정당의 개혁보수 성향이 충돌하면서 당내 주요 사안에 대해 크고 작은 마찰음을 내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이번 지방선거 이후 당의 발목을 잡고 있는 주원인으로 모호한 정체성과 화학적 결합의 실패를 지목, 쇄신에 나섰지만 손학규 대표 체제의 새 지도부에서도 불과 일주일 만에 내부 파열음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손학규 지도부, 일주일 만에 판문점 비준 불협화음

바른미래당 새 지도부는 7일 판문점 선언 비준 동의와 관련한 당내 어수선한 분위기 수습에 나섰다. 앞서 손 대표는 "4.27 선언의 비준 문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지상욱 의원은 이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맞서면서 사태가 촉발됐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전날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국회 차원의 결의안을 먼저 채택한 후 비준안 처리에 관해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의논하자"며 ‘선(先) 결의안 후(後) 비준 동의’를 제안했지만 당내 이견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하태경 최고위원은 급기야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의 기본 입장은 현재 판문점 선언은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선언에 불과하다는 것이고, 이 선언의 경우 비준 대상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당초 비준 동의에 적극 나설 것이라는 손 대표의 주장에서 당 지도부가 한 발 물러나는 상황이 연출됐다.

손 대표는 취임 직후 당내 화학적 결합을 강조하고 나섰지만 불과 일주일 만에 당 논란의 중심에 서면서 체면을 구겼다.

공동통합추진위원장인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오른쪽)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가 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합추진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다.(자료사진)ⓒ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안철수계와 유승민계 갈등…정체성 논란 대리전

앞서 바른미래당은 통합 직후 양당의 박주선, 유승민 공동대표 체제서부터 내홍의 조짐이 감지됐다. 박 전 대표가 남북정상회담과 통일 문제와 관련해 문재인 정부에 유화적인 입장을 취하자 유 전 대표는 대북정책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며 대립한 바 있다.

두 대표를 중심이 된 양당의 상이한 정체성 문제는 초반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이어 갔지만 결국 지방선거를 불과 한 달여 앞두고 계파갈등이 수면위로 떠올랐다.

당시 국민의당 중심의 안철수계와 바른정당 출신 유승민계는 송파을 공천을 놓고 각각 손학규, 박종진 후보를 추천, 당내의 첨예한 대립 구도를 드러낸 바 있다. 결국 바른미래당은 지방선거에서 패배하고 안철수, 유승민 전 대표는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는 것으로 끝났다.

공천권을 놓고 벌어진 계파갈등은 9.2 전당대회에서 안심(安心.안철수의 의중) 논란으로 재점화됐다. 바른정당 출신 후보들은 손 대표를 향해 당권파, 십상시라고 비판, 계파갈등이 여전하다는 점을 드러냈다.

정치권 관계자는 "안철수, 유승민계의 계파갈등의 뿌리에는 당내 정치적 노선이 다른 두 집단의 파워대결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양당의 통합 초기부터 미흡한 화학적 결합에 그 원인이 있다"고 설명했다.

바른미래당 유승민, 박주선 공동대표가 2월 13일 오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바른미래당 출범대회'에서 당기를 흔들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통합부터 삐걱거린 정체성 문제…발목잡힌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의 정체성 갈등은 지난 2월 양당이 통합을 준비하던 시기부터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통합추진협의체는 신당의 정강정책 중 대북·안보 분야의 핵심인 '햇볕정책'을 놓고 이견을 보였다.

국민의당 출신 이동섭 의원은 당시 강령 논의를 위해 열린 국민통합포럼 토론회에서 “햇볕정책을 건드리면 수도권은 전멸한다. 햇볕정책은 북한 핵 개발에 이로움을 주는 게 아니다”고 주장한 반면 바른정당 위원들은 “햇볕정책은 이론 자체는 뛰어나지만 현실 적용에서 실패한 정책”이라고 주장하며 맞섰다.

양당은 결국 지방선거를 불과 4달 앞둔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정체성 문제에 대해 충분한 협의 없이 물리적 통합을 진행, 결국 7개월의 시간이 흐른 9월 현재까지 화학적 결합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바른미래당 관계자는 "당원들 사이에서는 지방으로 내려갈수록 아직도 국민의당, 바른정당 출신이 마치 인식표처럼 따라 다니고 있는 실정"이라며 "중도정당으로서 진보와 보수를 아우르는 넓은 스펙트럼이 바른미래당의 정체성에 한 목소리를 내는데 필연적인 애로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동우 기자 (dwlee99@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동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