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앤써치 '국민들은 지금' 정기 여론조사
文대통령 지지 71% 20대도 "부적합" 압도적
평화당 반발…임명 강행, 문제의 끝 아닌 시작?
알앤써치 '국민들은 지금' 정기 여론조사
文대통령 지지 71% 20대도 "부적합" 압도적
평화당 반발…임명 강행, 문제의 끝 아닌 시작?
우리 국민 열 명 중 세 명 정도만이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을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압도적으로 지지하는 중도진보 성향에서도 유은혜 부총리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여론을 보였다. '임명 강행'이 문제의 끝이 아닌 시작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으로 분석된다.
데일리안의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알앤써치가 실시한 10월 첫째주 정례조사에 따르면, 국회에서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이 불발된 유은혜 부총리가 적합하다고 보는 의견은 32.8%에 그친 반면, 부적합하다고 보는 의견은 43.0%에 달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4.3%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청문보고서 채택 불발에도 불구하고 2일 "청문회에서 시달린 분이 일을 더 잘하더라"며 유은혜 부총리의 임명을 강행했다.
그러나 세대 및 이념성향별로 유 부총리에 대한 적합 여부를 살펴보면, 문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층에서도 유 부총리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견해를 가진 응답층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지지율이 74.5%에 달한 중도진보층을 상대로 유 부총리 적합 여부를 물은 결과, "적합하다"는 응답은 37.4%, "적합하지 않다"는 응답은 36.6%로 오차범위 내에서 혼전 양상이었다.
20대도 문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율이 71.0%로 매우 높았지만, 유 부총리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응답이 43.4%로 "적합하다"(29.6%)는 응답을 압도했다.
지난달 평양 남북정상회담의 '컨벤션 효과'가 사라져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이 조정 국면에 접어들게 되면, 임명을 강행한 유 부총리의 존재가 대통령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임명 강행이 문제의 끝이 아닌 시작이 되는 셈이다.
정치권의 움직임도 이같은 여론의 추이와 다르지 않다. 문 대통령의 남북 정책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민주평화당은 유 부총리로 대표되는 교육·대입 정책에 있어서는 명확히 선을 그었다.
수도권 대학 정시 90% 확대를 주장하는 박주현 평화당 교육개혁특위 위원장은 유 부총리를 가리켜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점이 있다"며 "부총리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든다"고 회의적인 견해를 보였다. 유 부총리가 수능 절대평가·수시 확대를 부르짖는 일부 시민단체와 가까운 관계임을 염두에 둔 부정평가로 보인다.
공론화 방식으로도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한 대입 정책에 유 부총리가 자신의 생각을 투영하기 시작하면, 여론과 정치권의 반발이 본격화할 수 있다. 여권에 우호적인 정당이 교육·대입정책을 계기로 돌아서게 되면, 문 대통령의 향후 국정운영에 부담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는 전망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1~2일 전국 성인남녀 1025명(가중 10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전체 응답률은 7.7%, 표본은 2018년 7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에 따른 성·연령·지역별 가중 값 부여(셀가중)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알앤써치 홈페이지(https://www.rnch.co.kr)를 참조하면 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