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사고 1만여 건·인명피해만 2300여 명에 달해…선박사고 최다지역은 목포
선박사고 1만여 건·인명피해만 2300여 명에 달해…선박사고 최다지역은 목포
세월호 참사 이후 해양 선박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선박사고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손금주 의원(무소속, 전남 나주·화순)이 4일 해양수산부 및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해양선박 사고는 총 1만664건이었으며 이로 인한 인명피해가 2347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도별로 보면 2013년에 1306건이던 선박사고가 2017년에 2882건으로 2.2배나 증가했다.
선박별로는 어선사고가 총 7222건으로 전체 사고의 70% 가량을 차지했고, 화물선 5.4%, 예인선 4.1% 순이었으며, 2017년부터 집계되기 시작한 수상레저기구 사고가 어선의 뒤를 이어 2017년 전체 사고의 16.4%를 차지했다.
사고 원인별로는 기관손상이 2925건, 31.1%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충돌이나 접촉이 1175건12.5%, 좌초 557건으로 5.9%, 화재·폭발 485건으로 5.2% 순이었다.
지방청별로는 목포가 985건으로 가장 많았고, 통영 903건, 서귀포 879건, 여수 836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아울러 이 같은 선박 주요사고의 85.4%가 운항과실, 부주의, 정비 불량 등 인적요인에 의해 발생했다.
손금주 의원은 “해양 선박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사고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여서 사회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운항 전 안전점검과 운항 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최근 늘어나고 있는 수상레저기구 등에 대한 안전운행과 사전 점검에 정부의 관심과 국민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