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강력 추천'으로 자연스레 정계 복귀
대권 도전시 친노세력 결집·높은 인지도 강점
이해찬 '강력 추천'으로 자연스레 정계 복귀
대권 도전시 친노세력 결집·높은 인지도 강점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오는 15일 노무현재단 신임 이사장에 취임하면서 향후 정치 행보가 주목된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유 전 장관을 후임자로 적극적으로 추천한 만큼 그가 여권의 차기 대권 주자로 부상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유 신임 이사장은 이날부터 임기를 시작한다. 한명숙 전 국무총리(초대), 문재인 대통령(2대), 이병완 전 대통령비서실장(3대), 이 대표(4대)에 이어 5대 이사장이다.
노무현재단이 가지는 상징성을 감안하면 유 전 장관이 본격적으로 정계복귀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는 지난 2013년 통진당 사태 후 "'직업으로서의 정치'를 떠난다"며 정계를 은퇴했었다.
유 전 장관이 노무현재단 이사장에 선임되면서 '민주당원'이 아니라는 약점도 해결됐다. 그는 2009년 국민참여당을 거쳐 2012년 통합진보당 대표를 지낸 후 통진당 사태 로 정의당에 입당했다가 이듬해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이 대표가 유 전 장관을 직접 차기 이사장으로 추천한 것을 두고 정치권에선 이 대표가 '친노' 인사로 꼽히는 유 전 장관을 차기 대권 주자로 키우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저서와 방송 활동 등을 통해 젊은층에도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점도 차기 대권 주자로서 매력적인 부분이다. 유 이사장은 '썰전', '알쓸신잡' 등에 출연하며 거침없는 발언으로 인지도를 끌어올렸다.
유 전 장관의 이사장 취임과 함께 여권의 차기 대선 구도에도 눈길이 쏠리고 있다. 노무현 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낸 유 이사장은 현재 청와대와 정부, 여당에는 유 전 장관과 노무현 정부에서 함께 몸담았던 인사들이 많은 만큼 향후 세력 결집에도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현재 박원순 서울시장, 이재명 경기지사, 김경수 경남지사 등이 차기 대선 주자로 꼽힌다. 이 지사의 경우 공직선거법 위반혐의로 경찰의 압수수색을 받으면서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