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삼성바이오에피스, 유럽 제품 매출 6천억원 돌파


입력 2019.01.30 09:32 수정 2019.01.30 09:34        손현진 기자

자가면역질환 3종 매출 5억 4510만불 … 전년 동기대비 44% 상승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장.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베네팔리(엔브렐 바이오시밀러)'와 '임랄디(휴미라 바이오시밀러)'를 앞세워 유럽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29일(현지시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유럽 지역 마케팅 파트너사 바이오젠이 발표한 2018년 4분기 및 연간 실적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3종의 지난해 유럽 제품 매출은 전년에 비해 44% 상승한 총 5억4510만달러(약 6002억원)를 기록했다.

제품별로는 베네팔리가 4억8520만달러(약 5342억원)로 전년 동기대비 31% 증가했고, `플릭사비(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는 380% 증가한 4320만달러(약 47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또한 이번에 처음으로 실적이 공개된 임랄디는 지난해 10월 출시 후 70여일만에 1670만달러(약 184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베네팔리는 2016년 2월 출시 이후 총 9억5660만달러(약 1조533억원)어치가 판매돼 누적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최근 2년 간의 매출이 8억5600만달러(약 9425억원)로 92%의 비중을 차지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베네팔리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유럽 시장에 출시한 첫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서, 출시 첫 해부터 `퍼스트 무버` 효과와 환자 편의성 등을 강점으로 꾸준히 판매량을 늘려왔다.

의약품 시장 정보업체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베네팔리는 유통 물량 기준으로 유럽 전체 에타너셉트 시장 점유율을 41%까지 끌어올렸으며, 특히 독일 시장에서는 오리지널 제품인 엔브렐을 제치고 시장 점유율 1위 를 달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주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 규모가 유럽 최대인 약 2조원에 달하고 약가가 가장 높은 독일에서 바이오시밀러가 오리지널 의약품을 넘어선 첫 번째 사례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 10월, 글로벌 매출 1위(약 20조) 의약품 휴미라의 바이오시밀러 `임랄디(성분명 아달리무맙)`를 유럽에 출시했다.

임랄디는 글로벌 제약사 3곳(암젠, 산도즈, 마일란)과의 동시 출시로 업계의 기대를 모았으며,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유럽 시장의 공급 우위 및 기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판매 노하우를 바탕으로 출시 직후 10개국 이상에 출시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다.

특히, 유럽 내 아달리무맙 시장 규모가 가장 큰 독일에서는 출시 후 첫 달만에 바이오시밀러 시장 점유율 1위(62%)를 달성하였고, 유럽 전체로는 본격적으로 판매가 시작된 11월부터 2개월 연속 바이오시밀러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이를 통해 약 5조원 규모에 달하는 유럽 아달리무맙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경쟁의 초반 승기를 잡았다.

업계에서는 기존에 유럽에서 출시된 다른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에 비해 임랄디의 시장 침투 속도가 상당히 빠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바이오젠의 최고재무책임자(CFO) 인 제프리 카펠로(Jeffrey Capello)는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임랄디의 출시 첫 분기 시장 침투율 성과가 베네팔리를 능가한다”며 “2019년에는 임랄디를 필두로 한 두 자리 수의 바이오시밀러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고 언급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커머셜(Commercial) 본부장 박상진 전무는 “베네팔리의 성공 사례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임랄디 등 후속 제품의 판매를 확대해 유럽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손현진 기자 (sonso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손현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