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통령 비판에 해당기자 실명공개
홍익표 "꼬마정당", 심상정 "국민 알 필요없어"
평론가 "민주주의 존립 자체 위협하는 발언"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비판에 해당기자 실명공개
홍익표 "꼬마정당", 심상정 "국민 알 필요없어"
평론가 "민주주의 존립 자체 위협하는 발언"
민의의 전당인 국회에서 "품격의 정치가 사라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원내 제1당은 노골적인 소수정당 비하는 물론 '국가원수 모욕'을 근거로 외신 기자의 실명을 적시하며 비판했다. '5·18 망언'과 '20대 비하' 발언에 이어 선거제도 개혁을 담당하는 수장의 '국민무시' 발언 논란 등 여야의 발언은 위험 수위를 넘나들고 있다.
최근 서울외신기자클럽(SFCC)은 이례적으로 여당을 향해 항의성 성명서를 발표했다.
"더불어민주당이 대통령에 대한 기사를 작성한 블룸버그 통신 기자의 실명을 거론하며 성명을 발표하고 이로 인해 기자 개인의 신변안전에 큰 위협이 가해진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는 내용이였다.
지난 12일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외신을 인용해 문재인 대통령을 '김정은의 수석대변인'으로 비유하자 다음날 민주당은 비판 성명을 내면서 기자 실명을 적시한 것이다. 서울외신기자클럽은 해당 성명 취소를 요구했지만, 민주당 홈페이지엔 해당 논평이 계속 올려져 있다.
앞서 홍익표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바른미래당을 "영향력도 없는 정당"이라고 비하했다. 바른미래당은 즉각 사과를 요구했지만, 홍 대변인은 공식적으로 이를 거절하며 실수가 아니라는 태도를 보였다. 바른미래당은 국회 윤리특위에 징계요구서를 제출하며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인 심상정 위원장도 국민 비하 발언으로 구설수에 올랐다. 그는 지난 17일 여야 4당 간 선거제 개혁안 잠정 합의 직후 기자들이 비례대표 산식(算式·계산 방식)을 보여달라는 질문에 "국민은 산식이 필요 없다"고 말해 논란을 자초했다.
나 원내대표는 이에 "'국민은 알 필요가 없다'고 했다고 한다. 국민은 알 필요가 없는 이런 기형적인 제도를 왜 만들겠느냐"며 심 위원장에게 항의했고, 심 위원장은 "말꼬리만 잡는 좁쌀정치를 해서 되겠느냐"며 공방을 펼쳤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정의와 평화, 인권과 민주를 말한 심 위원장이 어떻게 그런 발언을 할 수 있느냐"면서 "거친 발언도 국회의 품위를 잃게 하지만, 앞서 해당 기자의 실명 공개나 심 위원장의 발언은 민주주의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