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한경연 "지난해 국내 상장사 실적, 美·中·日 보다 저조"


입력 2019.05.29 18:18 수정 2019.05.29 18:29        이홍석 기자

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 증가율 모두 낮아

한·미·일·중 상장기업 실적.ⓒ한국경제연구원
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 증가율 모두 낮아

지난해 국내 상장기업들의 실적이 미국·일본·중국 기업들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 증가율이 모두 4개국 중 꼴지를 기록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9일 국내(1940개)를 비롯, 미국(2017개)·일본(3258개)·중국(3489개) 등 4개국 주요 주식시장 상장기업(금융업 제외)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 국내 상장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의 매출액 증가율은 5.2%로 중국(12.7%)은 물론 미국(9.7%)과 일본(6.5%)보다도 낮았다. 영업이익은 1.0% 감소했는데 증가한 미국(16.8%)과 중국(9.7%)뿐만 아니라 일본(-0.6%)보다도 좋지 않았다.

당기순이익 증가율은 -12.4%의 역성장을 기록해 중국(-4.6%)보다 좋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경기가 좋은 미국(10.3%)은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을 기록했고 일본도 2.9% 증가했다.

다만 부채 관련 수치는 괜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비율은 47.4%로 미국(104.9%)·일본(62.2%)·중국(68.9%) 모두에 비해 낮았다. 또 부채증가율도 3.6%로 일본(3.7%)과는 비슷했지만 미국(6.2%)과 중국(9.0%)보다 낮았다.

산업별로 보면 산업재(자본재·상업서비스·운송)는 매출 증가율이 5.2%에 불과해 모두 두 자릿수 성장율을 기록한 경쟁국들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일본(11.9%)·중국(11.4%)·미국(10.7%) 등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다만 부동산업의 경우, 국내 매출액 증가율이 20.3%로 중국(19.0%)·미국(7.7%)·일본(1.9%)을 모두 앞섰다.

영업이익의 경우, 국내 기업들은 IT(14.0%)와 부동산(14.5%)을 제외하고 모두 마이너스였다. 특히 에너지(-25.0%)와 헬스케어(-27.4%) 등 상대적으로 큰 낙폭을 보인 업종에서는 미·일·중의 성장세와 크게 대조됐다.

당기순이익은 커뮤니케이션서비스·정보기술(IT)·부동산 분야를 제외하고 모든 산업에서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유틸리티분야는 산업 전체가 적자로 전환됐다.

한경연은 국내 상장기업들이 매출과 이익이 주요 경쟁국에 비해 뒤처지게 되면서 부채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등 상대적으로 안정성에 집중하면서 많이 위축된 것으로 평가했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불확실한 경영환경, 급격한 비용증가, 글로벌 경쟁심화 등으로 국내 기업의 실적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의 위축 기조를 탈피하려면 불확실성 제거를 위한 정책 일관성 유지와 파격적인 규제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캐피탈 IQ 자료를 토대로 분석했으며 각국 통화를 기준으로 해서 환율효과를 배제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