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29일부터 닷새간 계획했던 휴가 반납 '정상근무'
日무역보복, 중‧러영공도발, 北미사일까지 위중한 상황
당초 29일부터 닷새간 계획했던 휴가 반납 '정상근무'
日무역보복, 중‧러영공도발, 北미사일까지 위중한 상황
문재인 대통령이 29일부터 닷새간 계획했던 여름휴가를 취소했다. 그만큼 외교‧안보‧경제 현안이 심상치 않다는 의미다. 문 대통령이 여름휴가를 가지 않는 것은 취임 후 처음이다. 평소 공무원들과 청와대 비서진들의 휴가를 독려하며 '대통령도 휴가를 가야한다'는 의지를 강조해온 문 대통령이다.
휴가허락지 않은 '총체적 위기'…"아주 힘들다" 털어놓기도
하지만 국내외 사정을 보면 마음 놓고 휴가를 떠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대외적으로는 일본의 무역보복 조치로 촉발된 '경제전쟁'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의 군용기가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제집처럼 들락날락했다. 한미일 안보체계에는 균열이 생겼고, 여기에 북한까지 동해로 미사일을 발사하며 "남조선을 향한 평양발 경고"라고 공개 경고장을 던졌다.
문 대통령의 고민은 지난 26일 청와대에서 불교지도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고스란히 드러났다. 문 대통령은 "요즘 우리 국민들 아주 힘들다", "국민들이 심리적으로 아주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했다. 또 "국가적인 어려움이라든지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는 일에 대해서는 국민들의 마음이 모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게 참 간절한 희망인데, 참 잘 되지가 않는다"고 스님들에게 털어놓기도 했다.
'이와중에 휴가?' 여론도 부담…집무실서 정상근무
문 대통령이 휴가 취소를 결정하기까지 고민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직원들의 예정된 하계휴가에 영향이 없도록 하라"고 당부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대통령이 휴가를 가지 않더라도 참모들은 가라'는 뜻이다. 이에 따라 매주 월요일 열리는 수석보좌관 회의도 29일엔 열리지 않는다.
무엇보다 일본의 무역보복을 둘러싼 일정이 발목을 잡았다. 당초 문 대통령의 휴가기간이었던 다음달 2일에 일본이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대상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을 각의에서 처리할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청와대 입장에선 '이와중에 휴가를 떠나느냐'는 여론의 비판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은 청와대 집무실에서 정상근무를 하면서 현안에 대한 보고를 받고, 대책 마련에 주력할 예정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예정된 하계휴가를 취소했으며 이 기간 동안 집무실에서 정상 근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의 추가 무역보복 조치 등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에 집중할 것이라고도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