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갈등, 총선에 긍정적"…민주연구원 평가 논란
한일 갈등에 총선 유불리 따지냐 비판…연구원 "부적절한 내용 인정"
한일 갈등에 총선 유불리 따지냐 비판…연구원 "부적절한 내용 인정"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원장 양정철)이 일본의 수출규제로 촉발된 한일 갈등이 '내년 총선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놔 논란이 일고 있다.
앞서 30일 민주연구원은 '대외주의'라고 적힌 '한일갈등에 관한 여론 동향' 보고서를 소속 의원들에게 배포했다. 보고서는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지난 26·27일 실시한 여론조사를 인용하며 "일본의 무리한 수출규제로 야기된 한일갈등에 대한 각 당의 대응이 총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이 많고, 원칙적인 대응을 선호하는 의견이 많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런 여론에 비추어 볼 때 (우리 당에 대한) 총선 영향은 긍정적일 것"이라고 했다.
자유한국당에 대해 '친일' 프레임을 씌우는 것에는 "정쟁 프레임에 대한 반감이 있다"며 "지지층 결집 효과는 있지만, 지지층 확대 효과는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에 대한 대응으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를 폐기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찬성(59.4%) 의견이 많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국당 지지층만 제외하면 거의 모든 계층에서 지소미아 폐기 찬성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덧붙였다.
당 안팎에선 국가적 위기인 한일 갈등을 내년 총선과 연관지어 지나치게 정치공학적으로 바라보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또 여당의 이같은 행태가 일본에 '한국이 현 갈등 상황을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오해의 소지를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민주연구원은 31일 "충분한 내부 검토 절차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부적절한 내용이 나갔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민주연구원은 "한일 갈등을 선거와 연결 짓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관련자들에게 엄중한 주의와 경고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연구원은 한일 갈등을 선거와 연결짓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당이나 연구원의 공식 입장이 아닌 조사 및 분석보고서가 오해를 초래하지 않도록 보다 신중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