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건설기계용 수소연료전지 국제표준화 작업반 첫 회의 개최


입력 2019.10.02 08:13 수정 2019.10.02 08:16        배군득 기자

국가기술표준원 “수소로 움직이는 건설기계 국제표준 주도”

국가기술표준원 “수소로 움직이는 건설기계 국제표준 주도”

연료전지-이차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예 ⓒ국가기술표준원

우리나라가 개발한 수소경제 제2호 국제표준안이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산하 작업반에서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2일 서울 쉐라톤 팔래스호텔에서 ‘건설기계용 연료전지 국제표준화 작업반’ 착수 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 프랑스, 중국, 일본 등 4개국 국제표준 전문가가 참석해 우리나라가 제안한 ‘건설기계용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의 성능평가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하기 위한 첫 번째 논의를 진행했다.

건설기계용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의 성능평가 기술은 지난 5월 제정된 수소경제 제1호 국제표준인 ‘마이크로 연료전지 파워시스템’에 이어, 우리나라가 수소경제 분야에서 2번째로 제안한 국제표준안이다.

우석대학교 이홍기 교수가 지난해 6월부터 국가기술표준원 표준기술력향상사업 지원을 통해 개발했다. 지난 4월 발표한 수소경제 표준화전략 로드맵에 따라 IEC에 제출한 신규 표준안(NP)이 승인돼 이번 국제표준 제정 절차에 착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우리나라가 제안한 국제표준안 적용 범위와 시험 방법 구체화 방안, 향후 추진 일정 등을 다뤘다.

이 표준안은 굴삭기, 불도저 등 건설기계에 장착되는 수소연료전지와 이차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성능평가를 규정하는 표준이다. 건설현장의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연료전지시스템이 현장 진동, 먼지 등 영향에 대한 성능평가 방법과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배출가스와 연비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건설기계 분야에서도 기존 내연기관을 대체할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이 이뤄지는 추세다.

이 표준안은 건설기계용 수소연료전지 분야에서 세계 최초로 제안된 것이다. 트랙터, 컨테이너 리프트 트럭 등 농기계와 물류 및 광산기계 분야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가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중장비 분야 전반의 국제표준 개발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우리나라가 지난 5월 수소경제 제1호 국제표준을 등록한 데 이어 건설기계 분야에서 제2호 국제표준을 제정하기 위한 국제 논의에 착수했다”며 “드론, 선박 등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진 다양한 유망 분야에서 국제표준을 선점할 수 있도록 기업, 학교, 연구소 등 민간과 적극 협력하고 기술 개발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연료전지-이차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예 ⓒ국가기술표준원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