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규제가 키운 청약 양극화…상한제 이후에도 쏠림 계속


입력 2019.10.28 06:00 수정 2019.10.28 05:41        원나래 기자

상한제 공론화 이후 경쟁률 상승…“관망하던 분양수요 자극해”

상한제 공론화 이후 경쟁률 상승…“관망하던 분양수요 자극해”

올해 1월~9월 서울지역에서는 총 36개 단지에서 1만9062가구가 공급 됐다. 서울의 한 공인중개업소 모습.ⓒ연합뉴스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 예고 이후부터 서울과 그 외 지역의 청약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상한제 이후 분양가가 떨어질 것을 기대하는 대기수요도 있지만, 서울은 대부분 상한제 시행을 신규 공급 부족으로 받아들이면서 일부 지역 쏠림 현상이 극심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28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1월~9월 서울지역에서는 총 36개 단지에서 1만9062가구가 공급 됐다. 이 기간 1순위에는 총 18만8961명이 몰려 평균 24.7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월별로 보면 연 초에는 경쟁률이 낮았다가 하반기로 갈수록 높아지는 등 경쟁률의 차이가 컸다.

1월에는 1순위 경쟁률이 9.48대 1에 불과했지만 5월에 23.37대 1로 올랐고, 8월 들어 124.24대 1까지 급등했다. 8월의 경우 동작구 사당동에서 분양했던 ‘이수푸르지오 더 프레티움’이 평균 203.75대 1(89가구 모집에 1만8134명)의 경쟁률이 작용한 결과다.

특히 이 기간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이 10대 1 이상을 기록한 곳은 전체 36개 단지 가운데 22곳인 반면, 그렇지 못한 단지는 36곳 중 14곳으로 전체의 38.9%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평균 청약경쟁률이 10대 1을 넘지 못한 단지가 전체의 22.7%였던 것에 비하면 높아지는 등 청약 양극화가 한층 심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구체적인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이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소비자들 입장에선 어떻게 되더라도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분양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은 변할게 없어 적극적으로 청약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러면서 “결국 당첨되면 얼마나 더 남길 수 있느냐에 따라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단지로 쏠림 현상은 한층 심화될 수밖에 없다”며 “강남과 비강남, 비강남에서도 도심, 강북 등 인기지역과 비인기지역간의 청약률도 현저하게 차이가 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청약 이후 더 큰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단지로의 쏠림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봤다. 상한제 시행에 오히려 공급 물량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청약자 역시 급증하고 있다.

최성헌 직방 매니저는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이후 분양가격 인하를 기대하면서 분양수요의 관망세가 커질 것이라는 예상은 빗나가고 있다”며 “정부의 분양가상한제 시행 지역과 분양가 산정 방법이 구체화되지 않아 시장이 체감하지 못하는 것도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지난해 9·13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관망하던 분양수요가 올 3분기 들어서 적극적으로 청약에 나서고 있다”며 “정부의 아파트 시장 안정화 정책 기조 이후 시장 흐름에 대해 확신을 가지지 못했으나, 분양가격의 상승이 지속되고 매매시장도 점차 가격 회복이 나타난 것도 분양수요를 자극한 원인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