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고창·서천갯벌·서귀포습지…‘람사르습지도시’ 국제 인증 신청


입력 2020.03.12 12:00 수정 2020.03.12 10:37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인증 시 6년간 람사르습지도시 인증 활용 및 인프라 확충 지원

해양수산부와 환경부는 고창군 운곡습지·고창갯벌(내륙·연안습지), 서천군 서천갯벌(연안습지)과 서귀포시 물영아리오름(내륙습지) 등 우리나라 모범 습지도시 3곳을 선정해 15일 람사르협약 사무국에 제2차 ‘람사르습지도시’ 국제 인증을 신청한다고 밝혔다.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제도는 람사르습지로 인정받은 습지 부근에 위치해 습지 보전과 현명한 이용에 모범적으로 참여한 도시나 마을을 국제적으로 인증하는 제도다.


2011년에 우리나라와 튀니지가 공동으로 제안·발의해 2015년 제12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됐다.


이후 2018년에 열린 제13차 총회에서 우리나라 순천·창녕·인제·제주 4개 도시 등 중국·헝가리·프랑스 등 7개국 18개 도시가 최초로 인증을 받은 바 있다.


이번에 제2차 람사르습지도시 국제 인증을 신청한 3곳은 국제협약(람사르협약)과 국내법(습지보전법)에 따른 람사르습지 및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으로, 올해 2월 국가습지심의위원회를 통해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


고창갯벌은 수려한 경관을 지닌 지형·지질학적 가치가 높은 연안습지이고, 고창군 운곡습지는 오베이골(길이 다섯 군데로 갈라졌다는 뜻)의 저층습지와 운곡저수지의 호소형습원(폐쇄적인 정체수역을 이루는 습지)이 결합된 내륙습지다.


고창군은 연안·내륙습지에 대한 복원사업을 실시하고 생태관광을 운영하는 등 습지 보전과 이용을 조화롭게 실천하고 있다.


서천군 서천갯벌은 도요물떼새들의 중간 기착지이며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한다. 서천군은 이곳에서 철새 보호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갯벌 정화활동을 펼치는 등 활발한 지역주민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서귀포시 물영아리오름은 기생화산구(화산의 중턱이나 기슭에 새로 분화해 생겨난 화산)에 발달한 습지로, 마을규약을 통해 주민주도형 습지 보전활동과 생태교육·관광이 활성화된 지역이다.


이들 3곳의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여부는 람사르협약 사무국 독립자문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2021년 상반기에 예정된 제59차 상임위원회에서 결정되며, 최종적으로 인증이 확정되면 2021년에 열릴 제14차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인증서를 받게 된다.


람사르협약 상징로고 ⓒ해수부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을 받은 지역은 6년간 지역 농·수산물이나 생산품 판촉, 생태관광 활성화 프로그램 등에 인증 상표(브랜드)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해수부의 ‘해양보호구역 관리사업’과 환경부의 ‘람사르습지도시 인증프로그램 운영지원사업’을 통해 습지보전이용시설, 생태관광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비용도 지원받는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