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세, 스마트③] 스마트팜 혁신밸리, 첨단 농산업 중심될까?


입력 2020.09.25 16:30 수정 2020.09.25 16:30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정부 스마트팜 확산 정책, 2022년 7000ha 보급 목표

스마트팜 혁신밸리, 상주·김제·고흥·밀양 등 4곳 집적화·고도화 추진

장벽에 부딪힌 ‘아쿠아팜 4.0’ “수산혁신 차원 반드시 필요”

농업의 혁신으로 불리는 스마트팜은 이제 국내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지능화된 농업 시스템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농림축산수산물의 생산과 가공·유통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의 기술이 접목되면서 생육환경이 지동으로 유지·관리되고 이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같은 스마트팜 기술을 이용한 생육에는 농산업의 생산비 절감과 관리의 편리성이 담보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시장 규모는 커지고 있으며, 그 규모는 3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정부도 2022년까지 스마트팜 7000헥타르(ha) 보급이라는 목표를 세웠고,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4곳을 구축키로 하고 생산·교육·연구기능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 중이다.


'한국형 스마트팜 2세대 기술' 시연회에서 작물 영상이미지 자동수집장치로 시연을 하고 있다. ⓒ뉴시스

농식품부는 우선 경북 상주와 전북 김제를 스마트팜 혁신밸리로 지정하고 10년간 7160억원을 투입해 스마트팜 고도화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2차 조성지역으로는 전남 고흥과 경남 밀양을 공모를 통해 선정했다.


최근 전남 고흥에 스마트팜 주요 실증단지와 지원센터, 보육시설 등 핵심시설 착공에도 돌입했다. 스마트팜 효과 극대화를 위해 총사업비 1100억원을 들여 33.3ha 규모로 2022년까지 순차적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가 스마트팜 집적화·고도화를 추진하는 데는 농업의 양상이 과거와는 달리 기후변화와 고령화 등으로 한계상황에 부딪히고 그에 따른 생산성이 갈수록 줄어드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스마트팜이라는 안정적인 재배·생산 방식이 대세로 떠오른 것이다.


또한 스마트팜은 응용 분야에 따라 스마트 농장, 스마트 온실, 스마트 축사, 스마트 양식장 등의 이름으로도 각 분야에서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는 스마트팜 보급에 따른 설치비용의 부담과 선도국에 뒤처지는 기술력, 운영 노하우에 필요한 빅데이터가 미흡하다는 지적도 따른다.


정부도 스마트팜을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의 하나로 선정하고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거점으로 임대형 스마트팜, 실증단지 등 인프라와 창업보육센터를 통한 교육 등의 지원으로 농업 고도화 및 청년 농업인을 육성하고, 연구·개발(R&D)과 전·후방 산업 구축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계획된 예산의 반영과 집행인데, 정부의 육성사업인 만큼 예산 반영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지자체 예산 반영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농식품부도 내년 예산 16조1324억원 중 스마트팜 혁심기술 개발을 포함한 농산업 디지털화에 8275억원을 배정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4곳의 완공을 지원하고 스마트팜 실증, 차세대 기술 연구에 신규로 178억원을 투입하는 한편 청년농 육성을 위한 임대형 스마트팜 확대에 477억원, 국내 기업의 스마트팜 해외 진출 패키지 지원에 47억원 등을 투입할 예정이다.


또한 스마트팜 농가의 생육환경 정보 등 수집·제공 확대, 데이터 서비스 개발 지원, 혁신밸리 2차 지역 빅데이터 센터 2곳 구축에도 77억원을 지원한다.


해양수산부도 지난해부터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에 시동을 걸고 부산시와 경남 고성군을 사업지로 선정한 데 이어 올해는 전남 신안군을 스마트양식 시범단지로 확정하고 스마트양식 기술 축적, 생산성 제고, 고부가가치화, 종자·사료 기술 고도화, 전문인력 양성 등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특히 지구온난화와 무분별한 남획으로 어획량이 줄어들면서 양식 수산물 수요 증가에 따라 AI를 통해 수온변화 감지 및 대처로 공급량 조절이 가능해 생산비가 절감되는 ‘아쿠아팜 4.0’을 적극 도입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AI 기반 스마트 양식을 도입, 주요 양식품목의 생산원가를 절반 이하로 낮추는 등 오는 2030년까지 10조원 상당의 신시장을 창출하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해수부의 ‘아쿠아팜 4.0’ 청사진은 재정 당국의 예산 분배 과정에서 아직까지 장벽에 부딪혀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스마트 양식이 수산양식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예산 반영이 쉽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열악한 수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만큼 지속적으로 설명하고 현실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