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메일 주의하고 주요 데이터 백업해야
최신버전 소프트웨어 사용 등 예방이 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말연시를 앞두고 각종 사회적 이슈를 활용해 악성코드가 첨부된 메일을 발송, 랜섬웨어 감염을 유도하는 해킹 등 사이버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주의해야한다고 23일 당부했다.
랜섬웨어는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로 데이터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한 뒤 이를 인질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를 말한다.
주요 랜섬웨어 피해 사례로는 카드·연하장 등으로 위장해 메일에 포함된 출처 불명의 인터넷주소(URL) 클릭을 유도하는 경우와 ‘연말정산 변경사항 안내’ 등 공공기관을 사칭해 첨부파일 실행을 유도하는 경우 등 주로 사회공학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사회공학기법은 신뢰할 수 있는 개인이나 조직을 사칭해 공격 대상에게 악성코드 감염을 유도하고 민감한 개인정보 등을 빼내는 공격기법이다.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 카드로 위장한 메일의 첨부파일 및 출처 불명의 URL링크를 통해 유포 ▲국세청을 사칭해 연말정산 변경사항 안내 내용으로 유포 ▲행사업체를 사칭해 송년회, 신년회 모임 추천장소 안내 내용으로 유포 ▲저작권 위반 안내 메일을 사칭해 악성코드 첨부 메일을 통해 유포하는 경우 등이 있다.
과기정통부는 랜섬웨어 감염 사례와 대응방안을 안내하고 개인·기업에 보안점검을 통한 보안강화를 권고했다.
랜섬웨어 피해예방을 위한 주요 대응방안으로 ▲최신버전 SW 사용·보안 업데이트 적용 ▲출처가 불명확한 이메일과 URL 링크 클릭 주의 ▲파일 공유 사이트 등에서 파일 다운로드 주의 ▲중요한 자료 정기 백업 등이 있다.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랜섬웨어 감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상 징후 24시간 모니터링 및 침해사고발생 시 신속한 복구 및 예방을 위한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손승현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사실상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외부 매체를 이용한 백업, 최신 보안 업데이트 등의 예방이 최선이며 특히 해킹 메일에 첨부된 URL 클릭과 첨부파일 실행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과기정통부는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디지털 미래사회를 선도하기 위해 침해대응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공익광고 등을 통해 랜섬웨어 피해 예방을 위한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