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최고위원 간담회 열고 사면 설득
"당사자 반성 중요하고 여론수렴 필요" 결론
당내 반발 진압 못하고 '사실상 후퇴' 해석
청와대와 교감 여부에는 "그런 일 없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일 긴급 최고위원 간담회를 열고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설득에 나섰지만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당내 친문 강경파의 반발을 넘어서지 못하고 사실상 후퇴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인호 수석대변인은 간담회를 마친 뒤 브리핑에서 "이 대표의 (사면 건의) 발언을 국민 통합을 위한 충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한다"며 "이 문제는 국민의 공감대와 당사자들의 반성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앞으로 국민과 당원의 뜻을 존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고위원회는 촛불정신을 받들어 개혁과 통합을 함께 추진하는데 공감했다"고 덧붙였다.
'대통령께 사면건의를 하지 않겠다는 의미냐'는 질문에 "당원과 국민의 뜻을 잘 경청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면서 "지금도 여러 경로를 통해 의견을 듣고 경청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이낙연 대표는 "코로나 위기라는 국난을 극복하고 민생안정과 경제회복이 당면한 급선무다. 급선무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의 모아진 힘이 필요하다"며 "국민통합을 이뤄나가야 한다는 제 오랜 충정을 말씀드렸다. 또 정치 또한 반복과 대결, 진영정치를 뛰어넘어서 국민통합을 이루는 쪽으로 발전해가야 한다고 믿는다. 그러한 저의 충정을 말씀드린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의 충정이었다'며 봉합하는 형태의 입장이 나왔지만, 실상 당내 반발을 넘어서지 못한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당내 강경파 의원들은 이 대표의 사면발언을 두고 "당사자의 반성이 없는데 사면은 안 된다", "촛불시민을 배신했다"는 등의 격한 반응을 보였었다. 일부 강성 지지층은 SNS 등을 통해 "대표가 미친 게 아니냐"며 원색적인 비난도 서슴지 않았다.
이 대표가 사면건의를 관철시키지 못하면서, 정치적 입지가 크게 흔들릴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당내 반발을 누르고 이 대표가 사면을 관철시킬 경우, 차기 대선주자로서 확실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여권 전반의 위기상황에 돌파구를 마련하는 의미도 있었다. 하지만 '국민여론을 수렴하겠다'는 애매한 결론으로 끝나면서 오히려 독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