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고기 소비자가 전년 대비 25%↑
산지가격, 생산원가 못 미치는 3000원 대
부위별 소비불균형, 가격 왜곡현상 발생
다릿살 등 저지방 부위에 대한 소비 필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가정 내 돼지고기 수요가 늘면서 삼겹살의 소비자 가격이 급등했지만 정작 산지 돼지고기 가격은 급락해 돼지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코로나19로 학교 급식 중단과 외식소비 감소로 돼지고기 부위별 소비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으로, 저지방 부위의 재고가 더욱 많이 쌓이면서 상황은 악화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축산물품질평가원 조사에 따르면, 올해 1월 돼지고기(삼겹살) 소비자 가격은 kg당 평균 2만1130원으로 1만6900원이었던 전년 1월 대비 25% 상승했다. 하지만 산지가격은 kg당 3664원으로 3년 전부터 생산원가인 4200원에도 못 미치는 3000원 대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이다.
외식 대신 집에서 식사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긴급생활자금이 지원되며 삼겹살·목살 등 구이용 고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등심·다릿살 등의 저지방 부위에 대한 소비가 저조해 재고가 쌓이며 산지 가격하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수요가 많은 구이용 부위에만 높은 소비자 가격이 형성됨에 따라 한돈에 대한 가격 왜곡이 발생하고 있어 한돈 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며 “합리적인 고기 가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릿살 같은 저지방 부위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