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봉합에 일단 한 숨, 일각 신현수 힘빼기
김경협 "사퇴는 신현수 자기 정치하려는 것"
"청와대 비서관 사퇴, 요란 떨 일이냐"고도
文 지지율과 재보선 악재에 파장 축소 고심
휴가를 마치고 22일 복귀한 신현수 청와대 민정수석의 거취가 잔류로 결정나면서 더불어민주당은 파장을 최소화하려는 모습이다. 검찰 중간 간부 인사와 차기 검찰총장 인선, 중대범죄수사청 등 향후 갈등의 소지가 적잖게 남아 있는 만큼 일각에서는 신 수석의 힘을 빼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김경협 민주당 의원은 "(신 수석이) 대통령을 열심히 보좌할 생각이 있으면 (잔류)하는 것이고 평양감사도 자기가 싫으면 못하는 것"이라며 "자기 정치를 하려고 못하는 것"이라고 압박했었다.
이어 "인사과정에 본인의 의사가 반영이 됐느냐 안 됐느냐를 가지고 논란이 있는 것 같은데 사표를 낸다, 안 낸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법무부 장관이 인사제청권을 가지고 있고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 발표하는 과정에 청와대 비서관의 역할은 전달하는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청와대 비서관이 사표 쓰는 게 어디 하루 이틀 문제도 아니고, 흔히 있는 일이다. 이걸 가지고 요란을 떠는 이유를 모르겠다. 오히려 이 건을 가지고 대단히 많은 가짜뉴스들이 더 심각한 문제"라며 "침소봉대해 청와대를 흔들어보겠다는 의도"라고 덧붙였다.
같은 날 MBC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한 박성민 최고위원도 "(신 수석이) 공직자로서의 자세를 모르지 않는다면 이렇게 하면 안 된다"며 "(내부적 갈등) 문제가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사표를 내는 것이 과연 적절한 행동이냐에 대해 조금 더 고민할 지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신 수석 관련 언급을 자제하며 파장을 확산시키지 않으려는 모습이다. 이날 최고위원회를 마치고 취재진과 만난 최인호 수석 대변인은 "지켜보고 있다는 것밖에 드릴 말씀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민주당 내부적으로는 신 수석의 사퇴와 복귀 일련의 사태가 지난해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갈등구조처럼 확대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있다.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하락과 4월 재보선의 악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앞서 청와대가 만류하고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공개적으로 사과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민주당의 한 선거 캠프 관계자는 "정권 심판론이 먹히느냐, 먹히지 않느냐가 이번 재보선을 가르는 핵심 변수 중 하나이기 때문에 문 대통령 지지율은 매우 중요하다"며 "신 수석 문제가 큰 논란이 되지 않고 마무리되는 것이 중요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