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지역 보다 시지역 고용율 더 낮아, 제조업 중심도시 취업자 감소 영향
지난해 하반기 전국 시·군지역 모두 고용률 낮아지고 실업률 높아져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경기침체에 따른 고용악화가 지속된 가운데 지역별로는 군단위 지역보다 시단위 지역의 고용률이 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시·군지역 모두 고용률은 감소했고 실업률은 올라 악화된 경기지표가 그대로 지역에서도 반영됐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0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별 주요고용지표’ 집계 결과, 시지역의 고용률은 59.5%로 전년 하반기 대비 1.0%p 하락했고 군지역은 67.0%로 0.3%p 하락했다.
이는 군지역의 고용률이 시지역에 비해 농림어업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취업자 중에서 고령층 과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군지역에 크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
작년 하반기 시지역의 취업자는 1299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9만3000명(-0.7%) 감소했고, 군지역은 206만5000명으로 2만9000명(-1.4%)이 줄어들었다.
실업률의 경우에는 9개 도의 시지역은 전년 대비 0.7%p 상승한 3.9%로 집계됐으며, 군지역은 1.5%로 전년 대비 0.2%p 상승했다.
실업률 역시 시지역의 실업률이 군지역보다 2.4%p 높게 나타나, 시단위가 군단위 지역보다 고용상황은 더 악화된 것을 의미한다.
실업자는 시지역이 53만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보다 9만4천명(21.6%)이 늘어났고, 군지역은 3만 1000명으로 3000명(11.1%)의 실업자가 더 양산됐다.
특히 전체 취업자 가운데 청년층 취업자 비중은 시지역은 12.8%로 1.0%p, 군지역은 7.4%로 0.7%p 각각 줄은 반면, 고령층 취업자 비중은 시지역은 29.4%로 1.5%p, 군지역은 53.5%로 2.1%p 올랐다.
작년 하반기 시지역의 청년층 취업자는 167만명으로 전년 대비 14만3000명(-7.9%) 감소했고, 군지역은 15만3000명으로 1만6000명(-9.6%)이 줄었다.
시지역의 고령층 취업자는 382만3000명으로 전년 대비 16만6000명(4.5%) 증가했고, 군지역은 110만4000명으로 2만8000명(2.6%) 증가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시지역은 61.9%로 0.7%p, 군지역은 68.0%로 0.2%p 각각 하락했고, 실업률은 시지역은 3.9%로 0.7%p, 군지역은 1.5%로 0.2%p 각각 상승했다.
지역별 고용률로는 전국 77개 시지역 중 제주도 서귀포시(73.2%), 충남도 당진시(68.9%), 서산시(67.2%) 등에서 높게 나타났고, 경기도 동두천시(51.7%), 과천시(53.3%), 남양주시(54.1%) 등에서 낮게 나타났다.
77개 군지역에서는 경북도 울릉군(84.3%), 전북도 장수군(79.6%), 전남도 신안군(77.3%) 등에서 높게 나타났고, 경기도 양평군(59.6%), 전남도 무안군(60.3%), 경기도 가평군(60.4%) 등에서 고용률이 낮았다.
실업률이 높은 지역으로는 제조업 중심 기반의 시단위 위주로 취업자 감소폭이 늘면서 경남도 김해시(6.2%), 경기도 시흥시(6.1%)와 안산시(5.9%) 등이 높았고, 군단위에서는 경남도 고성군(3.9%), 충북도 진천군(3.5%)과 증평군(3.3%) 등의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해보면 각 도에서 전북도 장수군(3.2%p), 전남도 보성군(2.9%p), 경남도 합천군(2.8%p), 강원도 평창군(2.8%p)은 고용률이 많이 증가한 지역으로, 경북도 포항시(-4.1%p), 경기도 포천시(-3.9%p), 충남도 공주시(-3.7%p)은 하락폭이 컸던 지역으로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