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여론조사회 日 원전 장래 설문조사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사고 이후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일본 국민의 부정적 의견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교도통신과 교도통신 가맹사로 구성된 일본여론(세론)조사회가 동일본대지진 10주년을 앞두고 후쿠시마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970명(유효 답변 기준)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한 결과 일본 원전의 장래를 묻는 항목에서 68%가 '단계적으로 줄여 제로화(전폐)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당장 전폐해야 한다는 응답자 비율도 8%를 기록해 전체 응답자의 76%가 탈(脫)원전 정책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지역을 강타한 규모 9.0의 강진이 일으킨 쓰나미는 후쿠시마 제1원전 1~4호기를 덮쳤고, 이로 인한 냉각장치 가동 중단으로 노심용융과 수소폭발이 잇따라 방사성 물질이 대량 누출됐다.
국제원자력 사고등급(INES) 기준으로 1986년 옛 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와 같은 최고 레벨(7)로 분류된 이 사고의 수습 작업은 폐로를 목표로 두고 장기 과제로 진행 중이다.
원전 전폐를 바라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60%가 후쿠시마 제1원전 같은 사고가 재발할 우려가 있는 점을 꼽았다.
반면 '일정 수준의 원전을 유지해야 한다(19%)'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전의 수준으로 돌아가야 한다(3%)'고 응답한 일본 국민도 일부 있었다. 이들의 58%가 원전을 없앨 경우 전기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