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위기의 소리바다, 자회사 생존권까지 위협


입력 2021.03.08 11:09 수정 2021.03.08 11:10        박정선 기자 (composerjs@dailian.co.kr)

관리종목 지정 우려...사실상 폐지 가능성도

자회사에 급여미지급·각종 비용 떠넘겨

ⓒ소리바다

음원 스트리밍 업체 소리바다가 사실상 상장폐지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코스닥시장본부는 “(소리바다의) 2020년 감사보고서에서 4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발생사실이 확인되는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음을 알려드린다”라고 16일 공시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소리바다는 지난 2017년부터 3년간 수십억 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고, 지난해 상반기에는 100억 원 이상의 손실을 봤다. 현재는 수십억 원 상당의 음원사용료를 체불, 멜론(카카오M)을 비롯해 지니뮤직, 벅스뮤직 등 경쟁 음원 플랫폼 사들로부터 음원 중단에 따른 소송, 내용증명을 받았다.


소리바다 자회사인 A, B사 직원들은 지난 해 9월부터 3월까지 7개월 동안 반복된 무급 휴가로 인해 생존권을 위협 받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이들 자회사는 임직원 명의로 경영권 다툼에 엄청난 법률 비용만 들어가는 소리바다에 자회사에서 가져간 자금부터 상환하여 문제를 해결하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소리바다는 공시를 통해 수년째 영업 손실을 본 주요 원인에 대해 “음원 원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판매 단가는 변동이 없어 콘텐츠 매출의 원가율 상승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 ”소리바다 어워즈를 개최하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하여 후원 및 광고유치에 어려움을 겪었고 적극적인 마케팅을 하지 못하여 영업 이익의 감소로 이어졌다"고 공시했다.


이에 대해 자회사들은 어처구니없다는 반응이다. 소리바다와 판매 단가가 동일한 멜론, 지니, 벅스의 경우 시장점유율이 매해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고, 흑자 행진 중이기 때문이다.


자회사들은 “멜론, 벅스의 월 정기결제권은 소리바다와 동일한 7900원으로 이들은 소리바다와 달리 이벤트 제휴를 통해 회원들에게 할인 혜택까지 주고 있다. 소리바다의 설명과 달리 이들의 영업 이익은 오히려 상승 추세다. 동일한 음원 원가, 판매 단가 조건에서 전혀 다른 실적을 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소리바다는 ‘소리바다 어워즈’가 열릴 때마다 팬덤을 대상으로 한 프로모션을 진행해 회원 유치를 이끌어냈고 실제로 회원수가 증가하는 수혜를 누렸다. 아티스트에게 트로피를 안겨주려는 팬덤의 열광적인 지지가 가입으로 이어진 것이다. 또 시상식에 초대된 아티스트들이 소리바다의 신규 사업 홍보에 도움을 주기도 했지만, 어떤 것도 제대로 결실을 맺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자회사는 성명을 통해 소리바다의 위기 원인은 다른 곳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무분별하고 불투명한 사업 진행”을 이유로 꼽으면서 “소리바다는 수년째 이어진 경영난을 극복하겠다며 수많은 신규 사업을 진행했다. 지난해 진행된 마스크 사업이 대표적인 예다.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삼겠다며 출사표를 던진 이들은 여러 투자자들을 모았지만 실질적으로 진행된 사업 내용은 전무 하다. 마스크 공장(안산제1공장)은 생산 설비조차 갖추지 못했다는 사실이 언론 보도를 통해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또 “2019년 발표한 블록체인 음원 플랫폼 사업도 마찬가지”라며 “당시 소리바다는 이 사업을 통해 음원 차트 조작과 사재기를 방지하고 저작권자들이 공정히 수익을 분배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지만 이 사업 역시 어떤 것도 진행된 것이 없다. 정직한 저작권 분배는 커명 오히려 자사의 음원사용료 조차 지불하지 못하고 있는 참담한 상태”라고 꼬집었다.


이어 “출처가 불분명한 엔터 선금급 5억도 마찬가지이다. 모기획사로 5억원의 선급금이 대여되었는데 출처가 불분명하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자회사들은 “오재명 회장, 조호견 대표 등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고발된 현 경영진은 부도덕한 경영과 관련한 이슈들이 산재해 있다”면서 “부적절 담보대출로 인한 개인 채무 변제부터 담보 평가액 과대 측정, 특수관계인에 특혜성 전환사채 발행, 공시의무 회피 논란까지 고발장에 명시된 갖가지 의혹들이 해소될 수 있도록 명백히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정선 기자 (composerj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