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코레일)가 오는 5월까지 '전차선 특별 관리 기간'으로 정하고, AI기술을 적용한 실시간 까치집 자동검출시스템을 활용해 단전사고를 예방한다고 16일 밝혔다.
실시간 까치집 자동검출시스템은 열차 운전실에 설치된 별도의 검측장비로 전차선을 모니터링하고, AI로 영상정보를 분석해 까치집 등 위험요인을 찾아 현장 직원에게 즉시 전송하는 방식이다.
시속 150km로 달리는 열차에서도 위험요인을 판독할 수 있는 고성능 영상처리장치와 GPS 등 최첨단 IT기술을 적용했다. AI가 스스로 학습하는 딥러닝(Deep Learning) 방식으로 까치집과 전차선을 구분해 정확도를 95% 이상 높였다.
그간 코레일은 까치집에 포함된 나뭇가지나 철사 등으로 인한 전차선 단전 사고를 막기 위해 현장 유지보수 직원의 도보 순회나 기관사의 육안 점검을 통해 까치집 제거작업을 시행해왔다.
드론을 통한 까치집 제거에도 나선다. 코레일은 지난해 말부터 정기열차가 운행하지 않거나 작업자가 접근하기 쉽지 않은 차량정비시설 등에 드론을 띄워 전차선 까치집을 발견하는 기술을 개발해 시범운영하고 있다.
손병석 코레일 사장은 "전차선 관리 등 안전한 열차 운행을 위해 첨단 IT신기술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스마트한 철도안전관리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