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4·7 재보선] 박영선 "내곡동 측량 현장 있었냐" vs 오세훈 "수직정원 철회 생각 없냐"


입력 2021.03.30 02:10 수정 2021.03.30 08:01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MBC '백분토론' 맞대결…예상대로 거센 공방

오세훈 처가 내곡동 상속 부동산 수용 '쟁점'

朴 "측량 현장에 吳 있었다는 증인들이 세 명"

吳 "당시 국장이 한 차례도 보고한 적 없다 해"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와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 ⓒ국회사진취재단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와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MBC '백분토론' 맞대결에서 예상대로 거센 공방을 주고받았다.


박영선·오세훈 후보는 29일 오후 10시 40분부터 100분간 생중계된 '백분토론'에서 △오세훈 후보 처가의 내곡동 상속 부동산 수용 문제 △4·7 보궐선거가 치러지는 원인과 박영선 후보의 사과 문제 △박영선 후보 '수직정원' 공약의 적절성 △박영선 후보 '서울시민 1인당 10만 원 디지털화폐 지급' 공약의 재원 문제 등을 놓고 치열한 토론을 벌였다.


오 후보 처가의 내곡동 상속 부동산 수용 문제는 예상대로 핵심 쟁점이었다. 박 후보와 오 후보는 서로 상대방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언의 신빙성을 문제삼으며 정면 충돌했다.


박 후보가 오 후보가 내곡동 땅 측량 현장에 있었다고 말한 증언을 인용하자, 오 후보는 불법경작으로 분쟁 중인 당사자였기 때문에 신빙성이 낮다고 일축했다. 반대로 오 후보가 서울시장일 당시 내곡동 땅과 관련해 보고를 한 적이 없다고 확언한 당시 서울시 국장의 증언을 인용하자, 박 후보는 해당 국장은 '오세훈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며 역시 증언의 신빙성을 의심했다.


박 후보는 오 후보를 향해 "(내곡동 땅) 측량 현장에 갔느냐, 안 갔느냐"며 "검은 선글라스를 끼고 키가 크고 하얀색 옷을 입고 생태탕을 먹었다는 증인이 세 명"이라고 공박했다.


오 후보는 "(증인이) 두 명인 줄 알았는데 세 명으로 늘어났느냐. 삼인성호(三人成虎)라고 세 명이 이야기하면 없는 호랑이가 나타난다더라"며 "불법점거자를 내보내기 위한 측량이었는데 (증인들의 증언에) 신빙성에 문제가 있지 않겠나. 사이가 나빠졌을 게 아니냐"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내곡동과 관련해 박영선 캠프에서 처음 문제제기했던 것은 '보상을 받으려고 땅을 샀느냐' '시장으로서 보상을 더 받도록 관여했느냐'인데 본질은 어디 가고 측량한 곳에 갔느냐로 계속해서 초점을 옮긴다"며 "입증을 못하니 측량을 놓고 물고늘어진다"고 반박했다.


이에 박 후보는 "내곡동이 국장전결이라 몰랐다고 설명하는데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느냐"며 "오늘 뉴스에서 당시 사무관이 '구두로라도 보고해야지 말이 안된다'고 했더라"고 '보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자 오 후보는 패널을 꺼내들더니 "이미 내가 취임하기 전에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SH공사가 국토부에 제안했고 국장전결한 서류가 여기 있다"며 "김○○ (당시) 국장이 KBS와의 통화에서 '단 한 차례도 이 사안을 보고한 적이 없다'고 했다"고 맞받았다.


박 후보는 '보고한 적이 없다'고 한 김모 국장을 가리켜 "그분은 오 후보가 키워준 분이라더라"며 "'오 후보 사람'으로 규정된 분"이라고 증언의 가치를 평가절하했다. 이에 대해 오 후보는 "(인사를 했다고 '오세훈 사람'이라면) 서울시 국장 중에 내가 인사를 하지 않은 사람이 누가 있겠느냐"며 "정말로 그런 보고가 있을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보궐선거 치러지게 된 원인도 쟁점으로 부각
'피해호소인 3인방' '후궁 비유' 놓고 난타전
吳 "성추행 보선과 무상급식 보선이 똑같느냐"
朴 "피해호소인 3인방은 스스로 사퇴…죄송"


4·7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된 이유도 쟁점으로 소환됐다. 박 후보가 지난 2011년 오 후보의 사퇴로 인한 보궐선거 실시를 문제삼자, 오 후보는 시장의 성추행으로 인한 극단적 선택과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동일선상에 놓은 것이냐고 반격했다.


박영선 캠프에 몸담았던 남인순·진선미·고민정 민주당 의원 등 이른바 '피해 호소인 3인방'과 고민정 의원을 가리켜 '후궁 비유'를 했던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을 서로 소환하며 두 후보는 난타전을 벌였다.


박 후보가 "이제는 무상급식에 찬성하느냐. 이것 때문에 보궐선거가 있었다"고 하자, 오 후보는 "이 성추행에 의한 보궐선거와 (무상급식 주민투표로 초래된 보궐선거가) 박 후보의 생각에는 똑같느냐. 나는 동의할 수 없다"며 "이번 보궐선거를 사죄할 마음은 있느냐"고 반격했다.


이에 박 후보가 "그렇다. 그 전에도 (사과)했다"며 "다른 인터뷰에서도 사과했고, 오늘도 사과하라고 하면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말했다.


오 후보가 "그러면 ('피해호소인') 3인방을 (캠프에) 쓰지 말았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하자, 박 후보는 "그분들은 스스로 사퇴하지 않았느냐. 그런 부분이 상처드린 것도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오 후보는 '후궁' 발언을 한 대변인을 그냥 쓰더라"고 재반격하기도 했다.


'수직정원' 실패작이냐 미래 트렌드냐 '공방'
中 청두 실패한 '수직숲'부터 재원까지 논란
吳 "1973년 아이디어…수직숲 모기 탓에 실패"
朴 "왜 실패한 것만…모기 있다고 숲 베느냐"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와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 ⓒ국회사진취재단

오 후보는 박 후보의 '21개 다핵도시' 공약의 핵심인 '수직정원'을 문제삼았다. 오 후보는 수직정원이 중국 청두(成都)에서도 실패했다며, 건설비만 많이 들어가는 이 공약을 철회하고 그 예산을 코로나19 창궐로 인해 어려운 시민들에게 쓸 생각이 없는지 추궁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는 '청두 수직숲'은 그것만 딱 실패한 사례라며 왜 하필 실패한 사례만 거론하느냐고 항변했다. 수직정원은 파리·밀라노 등이 계획하는 새로운 트렌드라며 여의도에 설치할 수직정원은 3000억 원을 예상하지만, 21개 다핵도시에 들어가는 모든 수직정원이 3000억 원이 든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오 후보는 "중국의 청두 지역 (수직숲) 아파트의 입주율이 800가구 중에 10가구로 1%"라며 "여름에 모기 때문에 다 나왔다고 한다. 겨울에 서울은 영하로 내려가는데 수도관이 얼면 어떻게 되는거냐"고 따져물었다.


박 후보는 "그게 딱 실패한 것인데 왜 실패한 것만 얘기하느냐. 모기가 있을 수는 있는데 모기가 무서워서 숲을 베느냐. 그곳이 모기의 집산지로 특수한 곳"이라며 "(겨울에는) 수도관을 쓰지 않고 빗물을 받아서 삼투압으로 끌어올린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도시에 수평공원을 만들려면 아무래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수직정원은 밀라노도 계획하고 있다"며 "2050년까지 수직정원 파리를 만들겠다는 그림도 나왔다. 이것은 새로운 트렌드"라고 강조했다.


그러자 오 후보는 "(수직정원은) 1973년에 나온 아이디어"라고 일축하며 "21개 다핵도시의 중심에 수직정원 하나씩 들어가는데 5000억 원씩 들어가는 것 아니냐. 서울시에 도움을 필요로 하는 어려운 분들이 많은데, 그분들에게 예산을 써야할 것이 아니냐. 이 공약 철회할 생각이 없느냐"고 압박했다.


이에 박 후보는 "국회앞 버려진 공원에 들어가는 빌딩은 3000억 원을 예상한다"면서도 "모든 것을 3000억 원에 짓겠다는 게 아니라, 예를 들어 동사무소를 리모델링할 때 거기에 나무를 가까이 해서 할 수도 있다. 산소를 공급하는 건강한 도시를 만들겠다는 의미"라고 해명했다.


'1인당 10만 원 디지털화폐 지급' 공약 도마 위
각종 공약에 들어가는 돈 얼마인지 놓고 '논란'
吳 "朴 공약 계산해보니 연간 15조 원 들어가"
朴 "마음대로 계산해 엉터리…5년에 4조 소요"


서울시장이 당선되면 모든 서울시민들에게 재난지원금을 1인당 10만 원씩 디지털화폐로 지급하겠다는 박 후보의 공약도 도마 위에 올랐다. 오 후보는 박 후보의 해당 공약이 1조 원의 예산이 소요되고 그외 박 후보의 여러 공약들을 추계해보면 1년에 15조 원이 소요된다고 공박했고, 박 후보는 오 후보의 계산이 잘못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오 후보는 "재난지원금을 1인당 10만 원씩 주려면 1조 원인데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이냐"며 "다른 공약들도 있지 않느냐. 100개가 넘던데, 계산하면 1년에 얼마가 들어가느냐"고 포문을 열었다.


박 후보는 "결산잉여금 1조3500억 원 중에 1조 원을 (1인당 10만 원씩) 디지털화폐로 지급할 생각"이라며 "내가 준비한 공약은 5년에 약 4조 원 정도가 소요된다. 내가 한 공약에는 국비도 포함돼 있어, 국비와 서울시 재정을 매칭하면 생각한 것만큼 재정 문제는 심각하게 다가오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오 후보는 패널을 꺼내들더니 "재난위로금 10만 원 지급이 1조 원에 청년 5000만 원 출발자금이 2조3000억 원, 소상공인 임대료 감면은 2조 원 등으로 연간 15조 원이 들어간다"며 "1년에 1조 원 밑으로 들어간다는 것은 터무니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박 후보는 "그것을 그렇게 마음대로 계산하느냐. 엉터리"라며 "소상공인 64만 명이 전부 임대료를 감면받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지 않느냐. (임대가 아닌 자기 건물에서) 자가로 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들은 해당되지 않으니 64만 명의 70% 정도일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오 후보는 다시 "(소상공인 64만 명 임대료 15% 감면 보조에 들어가는 돈) 여기에서 70%를 해도 1조5000억 원 아니냐"며 "서울시 예산이 40조 원 정도인데 고정지출이 있어서 마른 수건 쥐어짜듯 짜도 얼마 안 된다. 내 계산이 맞으면 빚을 내야 하는 것"이라고 재반박하기도 했다.


'백분토론' 내내 날선 질문에 대답 끊기 '살벌'
쌍방 서로가 "나를 규정하지 말라" 반발하기도
朴 "2차 가해 동참 아냐…함부로 규정 말라"
吳 "당황하지 않았다…그렇게 규정하지 말라"


이날 '백분토론'에서 두 후보는 서로에게 날선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끊으며 서로 발언을 주도하려고 하는 등 굉장한 신경전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서로가 상대방에게 "(나를) 규정하지 말라"고 반발하는가 하면, 안심소득 실험을 할 200가구의 선정 문제를 놓고서는 독일의 수도 베를린의 인구를 서로 정확히 모르는 상태에서 묻고 답하는 촌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오 후보는 박 후보에게 "민주당이 성추행 등의 경우에는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는데 (이를 뒤집는) 당헌·당규 개정 투표에 참여했느냐"며 "전당원 온라인투표를 했더라"고 물었다. 이에 박 후보는 잠시 생각하더니 "내 기억으로는 투표를 안했던 것으로 기억한다"며 "당시 중기부장관이어서 정당 일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러자 오 후보는 "당적은 유지되지 않느냐"며 "(반대하지 않은 것은) 2차 가해에 동참한 것 아니냐"고 따져물었다. 이에 박 후보는 "함부로 상대방을 규정하지 말아달라"고 반발했다.


반대로 오 후보가 토론 도중 박 후보를 향해 '1분 30초'를 실수해 "나중에 1시간 30분 동안 충분히 말씀할 기회를 드리겠다"고 하자, 박영선 후보는 "굉장히 당황한 것 같다"고 꼬집었다. 이 때는 오 후보가 "규정하지 말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오 후보가 공약한 '서울형 안심소득 실험'을 위한 200가구 선정에 대해서는 박 후보가 "200가구를 어떻게 선정할 것이냐"고 묻자, 오 후보는 베를린의 기본소득 120가구 선정을 예로 들었다.


이에 박 후보는 "베를린 인구가 어떻게 되느냐"고 물었고, 오 후보는 그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은 채 "안심소득은 하후상박(下厚上薄)으로 하는 것이라 고루고루 계층별로 (선정)해서 실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박 후보는 베를린과 서울은 상황이 다르다는 맥락에서 "베를린은 인구가 200만 명 조금 넘을 것"이라고 공박했다. 하지만 2019년 기준으로 베를린의 인구는 365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