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취임 후 첫 '상공의 날 기념식' 참석해
"'ESG'로 따뜻한 자본주의 시대 열어야
ESG 표준 마련 등으로 확산 원년 삼겠다"
문재인 대통령이 "단기 매출, 영업이익 가튼 재무적 성과 중심에서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같은 비재무적 성과도 중시하는 ESG라는 따뜻한 자본주의의 시대를 열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31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48회 상공의 날 기념식'에서 "이제 변화의 때가 왔다. 기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세계도 같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 지속가능발전이 세계적인 새로운 비전이 됐다"며 "우리 기업들도 수년 전부터 ESG를 중시한 경영전략을 세우고 있고, 벌써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석탄사업을 중단하는 대신 'RE100'과 탄소중립 선언으로 에너지 전환에 앞장서고 있으며, 친환경 자동차, 수소산업 같은 녹색산업과 폐기물 재활용 등 순환경제로 새롭게 성장하는 길을 열고 있다"며 "지역 청년과 장애인 교육사업에 앞장서고, 산업 환경 안전을 최우선에 둔 기업들도 많아졌다. 재산의 절반 이상을 기부한 벤처·창업기업들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사회와 기업의 동반 성장에 모범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투명하고 공정한 지배구조에 앞장서는 기업도 늘었다. 여성 임원 비율을 높이고, 윤리기준을 강화하여 공정과 효율성을 함께 높이고 있다"며 "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를 신설한 기업들의 환경과 안전, 고객가치를 향한 확실한 변화도 기대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단지 책임감만으로 가는 길이 아닐 것이다. 더 높이 성장하기 위한 길이며, 새로운 시대의 경쟁력"이라며 "ESG를 최우선순위에 둔 투자금융이 급증하고, 지난해 ESG 펀드의 수익률은 주식시장 수익률 못지않았다. 임직원과 고객, 지역사회와 두터운 신뢰를 형성하는 기업일수록 위기 회복력이 가장 빠르고, 생산성은 더욱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올해를 '모두를 위한 기업 정신과 ESG 경영' 확산의 원년으로 삼고 더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도록 힘껏 돕겠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제도를 개선하고, ESG 표준 마련과 인센티브 제공도 추진하겠다"며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민관 합동으로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를 출범해 산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그린 뉴딜의 본격적 추진으로, 녹색 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겠다"며 "유일한 법정 종합경제단체인 대한상공회의소가 정부와 업계를 잇는 든든한 소통창구가 되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문 대통령의 '상공의 날 기념식' 참석은 취임 후 처음이다. 현직 대통령의 참석은 2013년 박근혜 전 대통령 당시가 마지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