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실업률 6.2%...증가폭 둔화
중고령층 62세 은퇴시 40% 빈곤층 전락 전망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미국 고용상황은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중고령층은 개선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상황에서 중고령층 은퇴자 급증은 향후 경기회복 지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다.
한은은 2일 발간한 해외경제포커스의 ‘최근 해외경제 동향’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동향에 따르면 미국 고용상황은 대규모 경기부양책, 경제활동 재개 등에 힘입어 회복중이나, 중고령층 실업률 증가폭은 크지 않다. 지난해 4월 14.8%에서 8월 8.4%로 상당수 감소했지만, 지난해 12월 6.7%에서 올해 2월 6.2%로 0.5%p 소폭 낮아졌다.
특히 미국서 55세 이상 중고령층은 바이러스 감염에 상대적으로 취약해 청·장년층(25~54세)보다 일자리 복귀가 어려운 상황이다. 50~64세 코로나19 감염자의 사망률은 30~39세 감염자의 9배 수준(CDC)으로 집계됐다.
중고령층의 구직기간은 32.5주로 청·장년층보다 5~10주 더 소요되기도 했다. 중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은 지난해 8월 이후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올해 1~2월에는 지난해 저점 수준을 하회했다.
한은은 “중고령층 장기휴직자 중 상당수가 은퇴 중인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미국 전체 가구 중 상당수 노후대비 저축이 불충분한 상황에서 조기 은퇴는 소비비중이 큰 미국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입법위원회는 50~60세 근로자가 62세(퇴직연금 수령개시 가능연령)에 은퇴할 경우 이중 40%가 저축 부족 등으로 인해 빈곤층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보고서는 지난달 31일 조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 재건정책이 일환으로 발표한 2조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및 증세안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보육, 의료, 보건 관련 부양책은 이달 중 추가 발표될 예정으로 이를 포함하면 총 지출 규모는 3~4조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주요 IB는 이번 투자안의 경기 부양 효과에 대한 평가를 유보하는 분위기다. 증세를 수반하고, 경제적 영향이 장기간에 걸쳐 분산되며 세부 지출 계획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점 등을 감안했다. 해당 투자안은 양원간의 상당한 조정이 예상돼, 3사분기 이후에나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특히 3월 중 도입된 부양책(1.9조달러 규모)보다 긴급성이 떨어지고, 공화당의 증세반대가 극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합의에 실패하면 민주당이 조정절차를 통해 올해 가을 법안을 단독 통과시킬 전망이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투자안의 지출이 8년에 걸쳐 분산되는 장기 계획으로 투자안 실행이 본격화되기까지 수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