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환경부, 댐 37곳 저수구역에 대한 생태계 복원계획 수립 추진


입력 2021.05.03 12:00 수정 2021.05.03 11:00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임하댐 저수구역 생물서식 환경 개선을 위한 시범사업 이달 착수

댐 생태계 복원을 통한 탄소흡수능 증대, 탄소 중립에 기여


댐 저수구역 생태계 복원사업 조감도 ⓒ환경부

환경부는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관리 중인 댐 저수구역 37곳을 대상으로 생물서식 환경 개선과 생태계 구축을 위한‘댐 저수구역 생태계 복원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복원사업은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가공존하는 전이지대인 댐 저수구역생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것이다. 내년까지 생태계 보전·관리 및 복원 전략 등을 구상하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생태계 복원사업을 2025년까지 달성하기 위해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댐 저수구역 생태계 복원 기본계획에는 댐 주변지역 생물종(멸종위기 야생생물등) 출현 현황 조사·분석 및 생태계 분석 결과를토대로생태복원이 필요한 대상지를 비롯해 생태계 복원 전략등이 포함된다.


아울러 환경부는 댐 저수구역 생물서식 환경 개선 및 무단 경작 해소가시급한임하댐 저수구역(송강리 일원, 약 14만㎡)을 선정해 댐 저수구역 생태계를 복원하는 시범사업을 오는 4일부터 추진한다.


임하댐 저수구역은무단 경작현황, 지형특성(완경사), 국가 생태축 인접성(멸종위기 야생생물 등 법정보호종 출현), 댐 운영수위 등을 고려해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곳 저수구역 인근에는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지난해 말에 조사한자연성이우수하고 생물다양성이 뛰어난송강습지가 있다. 또 이곳 일대는 생태적 가치가 높은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 산림도 연결돼 있다.


시범사업은 송강습지와 산림을 연결하고 무단경작지와 훼손지를 생물 서식지로 조성하는 방식으로4일 설계 착수가 진행돼 내년부터2년간 복원사업에 들어간다.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임하댐 저수구역 시범사업을 시작으로그간 무단 경작, 서식지 훼손 등으로 교란된 댐 저수구역 생태계를차례로 복원해 댐 저수구역을 생태적으로건강하게 관리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탄소흡수원인 댐 생태공간 복원을 통해 온실가스 흡수량을 늘리고 기후조절 등 생태계 기능을 극대화해 자연·생태기반탄소 중립 달성에도 힘을 보탤 예정이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댐 저수구역 생태계 복원사업을 통해 댐 주변지역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생태가치를 높이는 데 노력할 것”이라며 “아울러 댐 저수구역 탄소흡수 능력을 증대시키고 2050년 탄소 중립을 실현하는데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