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反文빅텐트' 세우는 야권…변수는 윤석열의 선택


입력 2021.05.07 00:30 수정 2021.05.07 06:07        이충재 기자 (cj5128@empal.com)

국민의힘 6월 전당대회 이후 야권 재편 본격화될 듯

유승민‧원희룡 대권행보 빨라지는데 尹잠행은 길어져

4.7서울시장 보궐선거 사전투표가 시작된 4월 2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남가좌1동 주민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사전투표에 참여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야권 재편 시계가 빨라지면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정치적 선택이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현재 대선을 10개월 앞두고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합당 논의가 본격화되는 등 야권 재편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언제 통합의 시기 문제나 합당 방식을 둘러싼 시각 차이가 존재하지만, 정권교체를 위해 '반문(反文) 빅텐트'를 쳐야한다 데에는 이견이 없다.


지지율 독주체제…尹있어야 '빅텐트 천장' 높아져


최대 변수는 단연 윤 전 총장이다. 두 보수정당에 지지율 5%가 넘는 대선후보가 부재한 상황에서 '범야권 1강' 체제를 구축한 윤 전 총장의 선택은 야권 재편 변수가 될 수밖에 없다. 윤 전 총장은 최근 실시된 차기 대선후보 여론조사에서 범야권 후보로 독주하며 여권 유력 후보에게도 비교 우위를 점하고 있다.


실제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지난 4∼5일 (전국 18세 이상 1016명 대상) 실시한 '가상 양자대결'에선 윤 전 총장이 44.5%로,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재명 경기지사(36.2%)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윤 전 총장은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와의 양자 대결에서도 48.0%로 이 전 대표(31.3%)를 16.7%p 차로 따돌렸고,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의 대결에선 48.7% 대 25.7%로, 20%p 이상 격차로 앞섰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달 16일 실시한 양자대결(전국 18세 이상 1011명을 대상,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선 윤 전 총장은 과반인 51.1%를 기록하며 이 지사(32.3%)와 격차를 두 자릿수로 벌렸다.


이에 야권에선 빅텐트를 세울 핵심 기둥으로 몸값이 치솟고 있는 상황이다. "윤 전 총장이 선택을 서둘러야 한다"며 독촉하는 목소리도 함께 커지고 있다. 당장 윤 전 총장 없이 빅텐트를 세우더라도 텐트의 높이 자체가 낮아질 수밖에 없는 야권의 현실이다.


'쇄신하면 이긴다' 아닌 '그래야 윤석열 들어온다'


야권 일각에선 윤 전 총장만 바라볼 필요가 없다며 표정 관리를 하고 있지만, 조급한 속내는 감취지지 않고 있다. 특히 국민의힘 야권재편 논리는 '자강하면 대선에서 승리한다'가 아닌 '자강하면 윤석열이 들어온다'에 맞춰졌다.


권영세‧김웅‧조경태 의원을 비롯한 당권주자들은 연일 윤 전 총장 영입론을 펴며 "당을 쇄신하면 그가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권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도 6일 국회에서 열린 '명불허전 보수다' 강연에서 "우리 당이 변화와 혁신을 통해 수도권·중도층·2030세대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면 윤 전 총장이 알아서 들어올 것"이라고 했다.


정작 윤 전 총장은 느긋한 입장이다. 최근까지도 윤 전 총장은 물밑에서 학계와 정계 인사들을 만나는 '대통령 과외수업'을 이어가고 있다. 다음달 국민의힘 새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와 이후 이뤄질 국민의당과 합당 등 야권 재편 과정을 지켜보고 뛰어들어도 충분하다는 판단인 것으로 풀이된다.


야권이 윤 전 총장의 지지율을 범보수진영 최대 자산으로 보고 있는 만큼, 빅텐트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손짓은 바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의힘 전직 의원은 "우리 대선주자들이 윤 전 총장의 지지율을 '흡수대상'으로 보고 있는데, 그것도 같은 경선무대에서 경쟁을 통해 이겨야 가능한 얘기"라며 "일단 그가 들어와야 모든 것이 시작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지난 3일 한국정치평론학회 초청 토론회에서 야권 통합 이슈와 관련해 "제일 중요한 요소는 윤 전 총장의 결심"이라며 "그가 어떤 방식으로 언제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윤곽이 잡히지 않을까 한다"고 윤 전 총장이 최대 변수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결과적으로 다음 대선 때 야권 단일후보만 선출되면 된다는 생각"이라고도 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