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SKT, 서울시 C-ITS 실증사업 완수…상용화 돌입


입력 2021.06.08 10:00 수정 2021.06.08 09:21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시내 151㎞ 구간 1735개 정보센서 설치

G ADAS 장착해 교통정보 실시간 분석

SK텔레콤이 8일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인 ‘C-ITS’ 실증사업을 6월말 성공적으로 마무리 짓고 상용화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서울 미래 모빌리티 센터 관제실’에서 C-ITS를 점검하는 모습.ⓒSK텔레콤

SK텔레콤은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인 ‘C-ITS’ 실증사업을 6월말 성공적으로 마무리 짓고 상용화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지난 2019년 초 시작된 서울시 C-ITS는 이달 말 실증사업 종료를 앞두고 있다. 회사는 이 사업을 위해 ▲시내 주요 도로에 5세대 이동통신(5G) 센서·사물인터넷(IoT) 구축 ▲시내버스·택시에 5G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장착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조성 등을 진행해 왔다.


서울시는 실증사업에 대한 성과를 오는 12일까지 상암 에스플렉스센터에서 소개하고 구축된 자율주행 테스트베드에서 커넥티드(Connected) 버스와 자율주행차 체험행사를 진행한다.


SK텔레콤은 이번 사업 완수를 통해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 다양한 교통 관련 인프라와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인 5G 기반 V2X(vehicle to everything)를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중앙버스전용차로 중심으로 151㎞에 달하는 주요 도로 및 신호등에 1735개의 5G 센서를 부착하고 서울 시대 다양한 교통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왔다.


SK텔레콤은 IoT 센서를 통해 확보된 정보들이 하루 평균 ▲보행신호 및 보행자 접근 관련 4300만건 ▲포트홀 관련 580만건 ▲승강장 혼잡 관련 52만건 등의 알림으로 발송돼 운전자들의 안전운전을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위치기반 교통정보나 위험구간, 무단횡단 보행자 접근, 터널사고 정보, 추월차로 통과 감지 등 일평균 6700만건에 달하는 다양한 교통 관련 정보들이 실증사업 참가 대중교통 운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전방 교차로의 신호등 색상과 앞으로 녹색신호의 초 단위 잔여시간까지 안내하는 서비스도 구현했다. 도로와 신호등 외에도 차량과 교통 인프라 간 V2X 실증사업을 위해 시내버스 1600대와 택시 100대에 5G ADAS와 전용 단말 등을 설치해 운영 중이다.


5G ADAS는 차선 이탈방지 경보, 전방 추돌 방지 등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돕는 시스템으로 서울시 ‘C-ITS’ 실증사업을 통해 대중교통수단에 접목돼 서울 시민의 안전한 버스와 택시 이용을 지원하고 있다.


5G ADAS는 비전(Vision) 기술을 통해 표지판·도로 표시·공사 정보·포트홀 등 124종의 도로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클라우드에서 AI가 분석해 실시간으로 자율주행시대의 핵심 인프라인 ‘HD맵(고정밀 지도)’에 정보를 반영한다.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 도로 파손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서울시에 빠르고 정확하게 도로교통 정보를 제공해 시민들의 교통환경 안전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서울시와 SK텔레콤은 C-ITS를 통해 확보한 교통신호와 안전정보를 민간 내비게이션 제공 업체들에게 5G로 제공한다. 이 업체들은 해당 정보를 자사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플랫폼을 구축 중이다. 해당 플랫폼은 오는 2022년 내 완성될 예정이다.


신용식 SKT IoT CO장은 “서울시 C-ITS 실증사업은 대한민국 모빌리티가 5G 기반으로 진화하는 출발선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최고 수준의 5G 기술로 자율주행시대를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은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