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대신 은행권이 자체적으로 구축을 추진하던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에도 제동이 걸렸다. 독자적인 대출비교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은행권의 요구를 금융당국이 받아들였지만 다시 은행들이 사업에 난색을 표하면서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위원회가 주요 시중은행들 관계자들과 대환대출 플랫폼 추진방안에 대해 비공식 감담회를 가진 이후 은행권에서는 관련 사업을 더 이상 추진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온다.
해당 서비스는 금융위원회가 올해 업무계획에서 명시한 비대면·원스톱 대환대출 플랫폼과 관련된 사업이다. 소비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여러 금융기관의 대출 금리를 한눈에 비교하고 금리가 낮은 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 서비스 인프라다.
금융위가 계획한 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이 열리면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손쉽게 대출 금리를 비교해보고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하지만 은행들은 플랫폼에 지불해야하는 수수료가 큰 부담이다. 아울러 은행의 빅테크·핀테크 종속이 더 빨라질 것이란 우려도 더욱 커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은행들은 지난달부터 은행연합회 회원사들이 참여하는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핀테크·빅테크의 플랫폼을 빌리지 않고 은행들끼리 별도의 플랫폼을 만들어 대환대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업계 관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금융당국 측은 은행권이 공동 대출비교 플랫폼을 추진하겠다는 의견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은행들이 참여를 꺼리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 사업이 사실상 중단 위기를 맞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금융위는 이처럼 대환대출 플랫폼을 둘러싼 혼란이 커지자 은행권에 이어 오는 12일 제2금융권, 13일 빅테크 업체들과 잇따라 간담회를 열고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