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금융당국, '저축銀 신용대출 한도'도 연봉수준 축소 요구


입력 2021.08.22 10:32 수정 2021.08.22 10:32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농협중앙회에 계획 보완 요구

금융당국이 저축은행권에도 신용대출 한도를 개인 연소득 수준으로 줄여달라고 요청했다.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권에도 신용대출 한도를 개인 연소득 수준으로 줄여 운영해달라고 요청했다. 은행권에 이어 2금융권의 대출한도를 옥죄 가계대출 증가율을 5~6% 이내에서 잡아내겠다는 입장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20일 저축은행중앙회에 회원사에 신용대출한도를 차주 연봉수준으로 축소해줄 것을 요청했다. 앞서 금감원은 1주일전에도 은행권에 똑같은 내용을 요청했다. 은행권은 현재 이 같은 요구를 받아들인 상태다.


통상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한도는 은행권보다는 낮다. 하지만 일부 저축은행에서는 정액으로 1억∼1억5000만원 한도를 제시하며 은행권 수준으로 신용대출을 취급하고 있기도 하다.


아울러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의 높은 부도율을 고려해 해당 저축은행이 충당금을 더 많이 쌓도록 하는 방안 등도 살펴보고 있다.


올해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을 은행권은 5~7%, 저축은행권은 21%로 잡아내겠다는 입장이다. 이미 각 업권별 가계대출 증가율을 주간 단위로 점검하는 등 증가율 압박에 돌입한 상황이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상호금융권 가운데에서는 농·축협이 금융당국의 특별관리 대상으로 선정했다. 지난달 상호금융권을 포함한 제2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 5조6000억원 가운데 농협에서만 2조300억원이 급증했다.


지난 20일 농협중앙회는 금융위원회를 찾아 전국 농·축협의 집단대출을 일시 중단하고, 각 조합별로 목표치를 설정해 운영하고 60%인 대출자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자체적으로 낮추겠다는 등의 관리계획을 보고했다. 하지만 금융위는 농협중앙회의 계획이 미흡하고 구체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해 보완을 요구했다.


금융위는 보험업, 카드사 등 여신전문업 등 다른 제2금융권에도 총량관리 목표를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협회장을 통해 요청했다. 금융당국은 보험업, 여신전문업계에는 세부적인 지침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역시 주간 단위로 가계대출 총량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대출 중단과 같은 특단의 대책은 총량 목표치를 넘어섰거나 근접한 일부 금융회사에 한정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