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점 여부 따라 일부 기업형슈퍼마켓에서도 사용 가능
국민지원금사용처 홈페이지 등서 사용처 안내…대부분 소비자 몰라
음식 배달 시 대면결제만 가능, 접촉 자제 권고하는 정부 정책과 모순
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 사용처를 놓고 소비자들의 원성이 높아지고 있다.
사용 기준이 모호하거나 정부가 안내하는 사용처에서도 각각 다른 정보가 노출되다 보니 소비자는 물론 해당 업주들도 혼란스러워하는 분위기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국민지원금 온라인 신청 1주일째인 지난 12일 기준 누적 신청 인원은 2950만3000명이다.
이는 행안부가 집계한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자(잠정) 4326만명의 68.2%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누적 지급액은 7조3757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사용처를 놓고 혼란이 가중되는 모양새다.
대표적으로 대기업 계열 유통업체가 운영하는 기업형슈퍼마켓(SSM)의 경우 보통은 사용이 불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지역에 따라 또는 가맹점 여부에 따라 사용이 가능한 지점도 있다.
현재 행안부가 제공하는 국민지원금사용처 홈페이지나 제로페이, 지역사랑상품권 등 가맹점을 찾아주는 지맵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지원금 사용처를 확인할 수 있다.
서울 마포구에 사는 주부 박모씨는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수퍼마켓은 지원금 사용이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 결제하고 난 후 지원금이 사용됐다는 메시지를 받았다”면서 “정확하게 어디서 사용이 가능한 지 안내가 부족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지원금 사용 가능 매장을 안내해주는 홈페이지가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면서 “정부가 사전에 이런 정보를 충분히 안내했다면 소비자들도 좀 더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텐데 그런 노력이 아쉽다”고 덧붙였다.
국민지원금사용처 홈페이지에서 SSM 사용처를 검색한 결과 서울에서는 이마트에브리데이 등촌점, 지에스더프레시 마포염리점, 지에스수퍼 강서염창점 등 이마트와 GS리테일에서 운영하는 SSM 매장에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이중 일부는 국민지원금사용처 홈페이지와 지맵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다른 경우도 있었다.
정부에서는 기준 주소지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국민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다고 알리고 있지만, 지맵 앱에서는 지원금 사용이 가능함에도 지역사랑상품권 사용 표시가 없는 점포도 검색되고 있다.
배달앱 내에서의 사용을 놓고도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다. 프랜차이즈 식당이나 카페의 경우 가맹점이어야 하고 결제도 배달원과 만나서 카드로 해야 하는 등 복잡하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단건배달의 경우 대부분 배달앱 내에서 선결제를 하는 방식이어서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음식점 점주와 배달원, 소비자까지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모르고 주문한 소비자와 배달원 간 결제 과정에서 언성이 높아지거나 음식점에 항의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는 게 외식업계의 설명이다.
서울에 사는 직장인 정모씨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가능하면 접촉을 자제해달라는 정부가 배달앱에서는 굳이 대면해서 카드결제를 하라는 것은 모순이 아니냐”며 “지원금 사용에 있어서도 국민들의 편의성을 고려해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유통업계 일각에서는 지원금 사용처를 두고 형평성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대부분 대형마트나 SSM에서 사용이 불가한 반면 점포 매장 면에서는 SSM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큰 식자재마트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SSM이나 식자재마트 모두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등 같은 상품을 판매하는 곳이고 식자재마트 다수는 소상공인이라기 보다는 연간 매출액이 수천억원에 달하고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기업형인 곳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 장기화로 침체한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것이라는 당초 지원금의 목적과도 부합하지 않는 면이 있다”면서 “그럴 바에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주택가와 밀접해있는 SSM에도 사용을 허용해주는 편이 낫다고 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