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10월 ‘가계대출 대목’...은행권, 풍선효과 ‘긴장’


입력 2021.09.27 13:30 수정 2021.09.27 12:28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KB국민, 전세대출 한도 더 줄인다

하나, 내달부터 MCI·MCG 한시 제한

5대은행, 가계대출 증가율 5% 육박

5대은행 가계대출 잔액 증가율 그래프 ⓒ 각 사 제공

실수요 대출이 급증하는 10월을 앞두고,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 ‘풍선효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NH농협은행에 이어 KB국민은행까지 대출을 옥죄이면서 타 은행으로의 급격한 쏠림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미 시중은행의 대출 여력은 턱밑까지 차오른 상태다. 연말까지 정부 관리 목표치(5~6%)를 맞추기 위해 은행권은 가계대출 고삐를 더욱 죌 전망이다. 금융당국의 추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도 유력 거론되고 있다. 연말 역대급 대출 빙하기가 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발 대출 중단 이후 연쇄적으로 가계대출 관리가 이어지고 있지만, 대출 증가세가 꺾일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 23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00조6574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4.55%(30조5035억원) 늘었다. 추석 연휴 전인 지난 16일(701조5689억원)보다 감소했지만, 일부 은행들의 대출 축소 및 중단 조치에도 불구하고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5대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의 가계대출증가율도 당국이 제시한 목표인 5~6%(710조3631억원)에 이미 근접한 상황이다. 일부 은행은 한계치를 넘어섰다. 23일 기준 농협은행이 7.33%(135조5870억원), 국민은행 4.31%(168조8297억원), 하나은행 4.89%(131조4287억원), 신한은행 2.61%(129조5528억원), 우리은행 3.72%(135조2052억원)이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농협은행이 7%를 돌파하며, 지난달부터 3개월간 부동산 담보대출 신규를 한시 중단한 상태다. 국민은행은 지난 6월말 1.48%, 지난 7월말 2.58%로 증가율이 저조했지만 지난달 말 3.63%까지 급등하더니 지난 16일 4.37%까지 치솟았다. 17일 4.15%로 낮아졌으나 추석 연휴 이후에는 영업일이 23일 단 하루뿐이었는데도 4.3%대를 회복했다. 이같은 추세라면 5% 돌파도 시간문제라는 관측이다.


이같은 이유로 국민은행은 오는 29일부터 ‘실수요’ 대출로 분류되는 전세자금대출과 집단대출 한도를 더 줄이기로 했다. 앞서 은행은 지난 16일에도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의 한도를 축소한 바 있다. 전세대출의 한도는 ‘전세값 증액 범위 이내’로 제한하고, 집단대출 입주 잔금대출의 담보 기준도 ‘분양가나 KB시세, 감정가액’ 중 최저금액으로 변경했다. 다른 은행에서 국민은행으로의 대출 갈아타기(대환대출)도 막는다.


국민은행 측은 이번 조치에도 증가율이 잡히지 않는다면, 일부 대출 상품 판매를 중단할 수 밖에 없다는 방침이다. 증가율 5%를 넘어선 하나은행도 다음달 1일부터 모기지신용보험(MCI), 모기지신용보증(MCG) 일부 대출 상품의 취급을 한시적으로 제한한다.


상대적으로 대출 여력이 넉넉한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상황을 면밀히 주시중이다. 특히 10월이 이사철, 결혼 등으로 매해 가계대출 증가폭이 가장 큰 기간이다. 농협은행에 이어 가계대출 규모가 가장 큰 KB국민은행까지 돈 줄을 틀어막은 만큼, 풍선효과로 당행에 대출수요가 몰릴 가능성에 대해 대비하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아직까지 특이사항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면서도 “다음달은 실수요 대출이 몰리는 기간인만큼 방심하지 않고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인상되고 있지만 전세대출 등 실수요 대출이 급증하다보니 증가세를 잡기가 쉽지가 않다”며 “가계대출 증가율 잔액 여력이 남아있는 은행도 언제든지 대출 수요가 몰릴 수 있어 각 여신 담당자들이 긴장하고 있다”고 상황을 전했다.


이에 따라 5대 은행을 비롯한 시중은행들의 가계대출 문턱 조이기는 더욱 더 강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금융당국은 풍선효과를 차단하기 위해 상호금융, 여신(카드,캐피탈), 보험, 저축은행 규제도 강화하고 있다. 다음달 국정감사 이후 ‘DSR' 규제 강화를 골자로 한 가계부채 관리 추가 대책이 예고되고 있다. 실수요자들이 느끼는 대출절벽 현상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현재까지 연 5~6%의 대출 관리 목표치는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