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전경련 “경영학자 62%, 기업경영환경 선진국 대비 열악”


입력 2021.11.21 11:00 수정 2021.11.21 08:58        이건엄 기자 (lku@dailian.co.kr)

기업경영환경 및 기업가정신 전문가 인식 조사

기업가 인식개선·사업 재기 기회 제공 필요

선진국 대비 우리나라 경영환경 수준 및 뒤처지는 이유.ⓒ전국경제인연합회

우리나라의 기업경영환경과 기업가정신이 선진국에 비해 뒤처진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과거보다도 기업가 정신이 낮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1일 한국경영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기업경영환경 및 기업가정신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영학자 62.3%는 우리나라의 경영환경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고 밝혔다.


경영학자들은 기업가정신이 부족한 이유로 ▲기업규제 부담(39.4%) ▲고용비용 증가(31.7%) ▲ 무역 관련 불확실성(12.8%) 등을 들었다.


이에 따라 차기 정부에서 기업경영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기업규제 완화(34.0%) ▲기업의 고용 유연화(26.0%) ▲해외시장 개척 및 거래처 다변화 지원(14.0%) 등으로 나타났다.


현재 경영환경에서 중요한 이슈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30.3%) ▲디지털 전환 가속 (29.7%) ▲ESG경영(21.7%) ▲소비트렌드 변화(17.7%) 순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경영환경에 가장 필요한 기업가정신은 창의․혁신(40.6%)이 꼽혔다. 이어 위기 대처 능력(29.7%), 도전 의식(12.0%)이 뒤를 이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인해 기업에 닥칠 수 있는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해지고,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되면서 기업 경영자의 혁신적인 사고가 중요해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현재 경영환경에 필요한 창의․혁신 등을 발휘한 우리나라의 대표 기업가로는 정주영 회장(34.3%)이 꼽혔다.


정주영 회장은 당시 불가능이라 여겨지던 경부고속도로 착공에 나서고 조선소가 없는 상황에서도 선박을 수주하는 등 창의․혁신의 기업가정신을 실천한 바 있다.


현재 경영환경에 필요한 기업가정신을 발휘한 또 다른 기업가로 삼성을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성장시킨 이건희(21.1%), 이병철(17.1%) 부자가 꼽혔다.


경영학자의 70.3%는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 수준이 선진국 대비 낮다는 의견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이유에 대해 ▲실패를 용인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23.2%) ▲기업‧기업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17.1%) ▲청장년층의 안정적인 직업 선호(15.0%)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우리나라 연대별 기업가정신에 대한 평가는 각각 10점 만점에 ▲1970년대 이전(6.3점) ▲1980년대(6.3점) ▲1990년대(6.1점) ▲2000년대(5.7점) ▲2010년대(5.3점)으로 나타나, 1980년대 이후로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 수준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기업가정신이 발휘되기 좋은 환경이 되기 위해서는 ▲기업․기업가에 대한 긍정적 인식 조성(24.0%)이 우선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업 실패 이후 재도전 기회 제공 및 지원(20.9%) ▲기업활동을 제한하는 규제완화(20.3%) 등도 2, 3순위로 뒤를 이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이 선진국 수준에 오르지 못했다는 결과가 나온 만큼 기업가정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며 “기업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 기업가정신을 제고하는 한편, 규제완화와 기업의 고용 유연화를 통해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건엄 기자 (lk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건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