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OECD, 경제성장률 미·중·일 낮추고 한국 4.0% 유지


입력 2021.12.01 19:02 수정 2021.12.01 19:13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미·중 0.4%p, 일본 0.7%p 낮춰

한국 백신 접종·수출 호조세 반영

가계부채·재정 건전성 관리 주문

세계 주요국 OECD 경제성장률 전망 그래프. ⓒ기획재정부

경제협력개발기구가(OECD) 우리나라 올해 예상 경제성장률을 기존과 같은 4.0%로 전망했다. 신속한 백신 접종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와 수출·투자 호조 등으로 경제 회복세가 지속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1일 OECD는 이날 오전 11시(현지시간) ‘OECD 경제전망(OECD Economic Outlook)’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은 지난 9월과 같은 4.0%를 유지했다. OECD는 올해 3월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3.3%로 예측했고 5월 3.8%로 상향, 9월에는 4.0%로 높여 전망했다.


내년도 경제성장률도 기존 2.9%에서 3.0%로 0.1%p 높게 잡았다. 2023년은 2.7% 성장을 예측했다. 참고로 OECD는 해마다 5월과 11월 본 전망을, 3월과 9월에 중간 전망을 발표한다.


기재부는 이번 발표에서 OECD가 주요 20개국(G20)과 미국, 유로존, 중국, 일본 등 세계 주요 국가들 전망을 낮게 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기준 수준을 유지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OECD는 이번에 세계 성장률을 9월보다 0.1%p 낮춘 5.6%로 예측했다. 미국과 중국도 0.4%p씩 낮춰 각각 5.6%, 8.1%로 전망했다. 일본은 0.7%p를 낮춰 1.8% 성장할 것으로 분석했다.


기재부는 “우리 경제는 신속한 백신 접종에 따른 거리 두기 완화와 수출·투자 호조세, 정책효과 등으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OECD가 우리나라 내년 경제성장률을 두 번 상향 조정하고 2023년 2.7% 성장을 전망하는 등 안정적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소비와 고용 회복세가 확대하고 대외수요 증가, 정부 지원 등으로 수출과 투자 증가세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OECD에 따르면 우리 경제는 2023년까지 G20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이전 대비 가장 빠른 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위기 중 역성장을 최소화한 데 이어 위기 회복과정에서도 애초 예상보다 빠르고 강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기재부는 “주요국 대비 성공적인 위기대응을 다시 한번 방증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OECD는 우리 정부에 완전한 경제 회복까지 코로나19 피해계층을 대상으로 한 재정지원을 지속하되 보다 집중적이고 일자리 전환을 돕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을 제안했다


공공투자는 뉴딜정책 연장선에서 디지털화 촉진, 녹색 성장, 사회적 불평등 축소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더불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건전성 정책 강화와 주택가격 안정을 위한 공급 노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OECD는 이번에 세계 경제 성장률을 기존보다 0.1%p 낮춘 5.6%로 전망했다. 내년은 4.5%로 유지했고 2023년은 3.2%로 예측했다.


OECD는 세계 경제가 공급망 차질, 원자재가격 상승,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성장세가 둔화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중국, 일본 등 주요국 전망을 낮추고 일부 유로존 국가와 신흥국 전망은 높게 잡았다.


향후 2년 동안 세계 경제는 회복세가 이어지겠지만 성장 속도는 완만해지고 국가별 회복양상도 차별화가 계속될 것으로 봤다.


특히 백신 접종 확대와 정책지원 지속, 가계 저축 감소에 따른 민간소비 증가 등에 힘입어 회복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선진국 대부분이 2023년 전까지 위기 전 성장경로를 회복하는 반면 저소득국가는 코로나19 경제 충격이 장시간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물가 상승은 올해 말 정점을 찍은 뒤 완화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공급 차질 장기화, 주거비 인상 등을 우려하기도 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