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발달을 위한 초등 방과후학교 개선방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지속되면서 학생 교육과 돌봄을 내실화할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방과후학교를 정규 수업과 통합 운영하고 프로그램을 지자체가 관리해 프로그램의 체계성과 효과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와 눈길을 끈다.
김인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5일 KDI 정책포럼에 ‘아동 발달을 위한 초등 방과후학교 개선방향’을 게재하고 이같이 밝혔다.
연구에서 언급된 방과후학교는 정규 수업과 별도로 학생과 학부모 요구를 반영해 학교 내에서 일정 기간 지속되는 교육·돌봄 활동을 말한다. KDI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1~2차 연도 자료를 이용해 방과후학교 참여와 초등학생 발달 관련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방과후학교 참여와 아동발달척도 관련성은 일관되지 않았던 반면 사교육 참여와 아동발달척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방과후학교에 1시간 미만 참여했을 땐 건강상태 평가가, 2~3시간 참여했을 땐 학업에 대한 활기, 끈기, 체질량지수가 향상됐다. 하지만 2~3시간 참여했을 땐 공격성, 우울, 친구 관계가, 2시간 이상 참여했을 때에는 신체 증상이 악화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사교육에 1~2시간 참여했을 때에는 끈기가 향상되고, 1시간 이상 참여했을 때 학업효능감과 공격성이 개선됐다. 2시간 이상 참여했을 땐 학교성적 만족도가 높아졌고, 3시간 이상 참여했을 때 학업에 대한 헌신, 활기, 몰두 및 주의집중, 협동의식, 친구 관계, 건강상태 평가가 증진됐다.
김 연구위원은 “방과후 학교와 사교육 참여 시간에 따른 프로그램 구성의 차이, 방과후 학교와 사교육 간 교수학습방법 등의 차이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아동 발달척도와 가구소득간 긍정적 관계는 부모 양육태도 및 교사와 관계가 개선되면 상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방과후학교가 학생 역량을 강화하려면 정규 수업과 학생 지도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되어야 한다며 긍정적 상호작용이 동반된 돌봄을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고 봤다.
김 연구위원은 “초등학교의 정규 수업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간에 아동의 흥미, 특성, 학습 이력 등의 정보가 공유된다면 방과후학교는 발전적 형태의 학습 자극 부여가 가능하다”면서 “학생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돌봄은 학생의 잠재력을 밖으로 끌어내기 위한 교육 전제조건”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강사를 확충해야 한다면서 방과후활동 프로그램 제공처를 지역사회로 확대하고 지자체가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해야한다고 제안했다.
김 연구위원은 “프로그램 강사 희망자를 위한 의무 교육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강사 선발 시 다면인적성면접을 도입해 교육자로서 자질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자체에서 방과후학교를 포함한 지역사회 방과후활동을 통합적으로 총괄해야 한다”면서 “학교는 그 틀 내에서 수강 모집 안내, 공간 제공에 적극 협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