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정부 "일반 국민 4차 접종은 검토 안해…방역패스 연동도 없어"


입력 2022.02.14 16:52 수정 2022.02.14 17:04        정채영 기자 (chaezero@dailian.co.kr)

정은경 "4차 접종 결정한 것은 고위험군에서 중증·사망 예방 목적"

"의료진, 60세 이상 고령자 포함도 검토한 바 없어"

5차 접종도 검토 단계 아니야…신규 변이 출현 등 불확실성 남아 있어

지난해 10월 18일 오전 서울시 양천구 홍익병원에서 16∼17세 청소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백신접종을 받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정부가 면역저하자나 요양병원·시설 입원·입소·종사자가 아닌 일반 국민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또 소수의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4차 접종을 진행하는 만큼 '방역패스'에 4차 접종을 연계하는 일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정은경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장은 14일 브리핑에서 면역저하자와 요양병원·시설 생활자 등 총 180만명에 대한 4차 접종 계획을 밝히면서 "일반인에 대한 4차 접종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의료진이나 60세 이상 고령자 등을 4차 접종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도 아직은 검토한 바 없다고 밝혔다.


정 단장은 "4차 접종을 결정한 것은 고위험군에서의 중증·사망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중증·사망 위험도가 높지 않은 집단에 대해서는 4차 접종을 결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고령층 보호 방안에 대해서는 "60세 이상은 3차 접종으로 감염과 위중증화를 예방하고, 먹는 치료제로 중증 악화를 예방하는 두 가지 수단이 모두 유효하다"면서 "60세 이상의 4차 접종의 효과에 대해서는 (해외사례 등을) 계속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 단장은 5차접종 시행에 대해서도 검토 단계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오미크론 대유행이 지난 이후의 방역 상황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며 "오미크론을 겪으면서 전반적으로 면역도가 높아지면서 유행 상황이 어떻게 될지, 신규 변이는 출현하지 않을지 등 불확실성이 남아있어 지금은 5차 접종까지 고려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못 박았다.


그는 또 정부가 5∼11세 접종을 아직 결정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방역 상황 변화에 따른 위험·이득, 학부모 의사, 접종 의향 등에 대한 검토가 매주 진행되고 있다"면서 "아직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계약한 화이자 백신에는 5∼11세용 백신이 포함되어 있어 물량은 확보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정채영 기자 (chaezer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정채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