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한경연 “수출입 물가상승률 격차가 무역적자 주원인”


입력 2022.02.24 06:00 수정 2022.02.23 16:55        이건엄 기자 (lku@dailian.co.kr)

1월 격차만 7.2%p…채산성 악화 우려

원유 가격 폭등…무역수지 적자 확대 가능성

최대수출품목 ‘반도체’ 수출 물가 급락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부산항 모습. ⓒ뉴시스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출물가가 무역수지 적자폭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올해 1월 수입물가 상승률이 19.6%로 2021년 연간 상승률(21.1%)에 비해 낮았다고 24일 밝혔다. 수입물가 상승 그 자체보다는 상승률과 수출물가 상승률 간 격차 확대를 최근 무역적자의 주요 원인으로 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한경연은 지난해에는 수입물가가 크게 올랐음에도 수출물가도 함께 오르며 무역수지 흑자가 유지된 반면, 올해에는 수출물가에 비해 수입물가가 더 크게 오르며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됐다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 1월 수출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12.4%를 기록했다. 이에 따른 수출입 물가상승률 격차(수입물가지수 증가율 – 수출물가지수 증가율)는 7.2%p로 2021년(3.4%p)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여기에 올해 1월 수입물량도 전년 동기 대비 15.5% 증가한데 비해 수출물량은 8.6% 증가에 그쳐 무역수지 적자 폭이 더욱 확대됐다. 반면 2021년에는 수출입 물량 간 증가율 격차(1.6%p)가 올해 1월만큼 크지 않았다.


한경연은 일반적으로 수입물가와 수출물가는 유사한 방향으로 움직인다면서 원자재를 주로 수입하는 경우 수입물가 상승이 수출물가로 전가되는 성격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2008년의 사례처럼 수입물가와 수출물가 상승률 격차가 클 경우 무역수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월별 수출입물가 증가율 및 원유 수입물가 증가율.ⓒ한국경제연구원

한경연은 올해 무역적자 여부와 규모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로 최대 수출입 품목인 반도체와 원유가격을 지목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 국제 정세 불안으로 원유가격은 연초 전망을 뛰어넘어 배럴 당 1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반면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2021년 10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 1월에는 전월대비 6.7%나 하락했다. 한경연은 반도체 수출가격의 빠른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경연은 우리나라가 독점적 공급구조를 가진 원자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 주력 수출품목이 경쟁이 치열한 공산품에 집중돼 있어 원자재 가격 상승을 수출품 가격에 전가시키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태규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미국 금리 인상이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이어져 자본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도 있다”먀 “대외신인도 하락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재정건전성 확보, 투자여건 개선,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등 경제 펀더멘털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건엄 기자 (lk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건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