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와 함께 기름진 고열량의 안주를 듬뿍 먹은 다음날이면 건강을 해치고 살까지 찌웠다는 죄책감에 숙취 속에도 운동을 강행하는 경우가 많다. 술 기운이 빠지는 기분이 들고, 칼로리 소모해야 한다는 압박, 그리고 ‘숙취 해소에 운동’이라는 잘못된 건강 상식까지 퍼져 더 그렇다.
그러나 음주 다음 날 운동을 하면 간과 근육에 큰 무리가 따라 몸에 독이 될 수 있다. 음주 여파로 인한 대뇌 통제력의 일시적 상실로 반응 속도가 떨어져 운동 중 부상 위험성과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근육과 간을 넘어 심장, 콩팔, 뇌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술을 마실 때 체내로 들어온 알코올은 간을 통해 흡수 및 분해된다. 간에서 분비되는 알코올 분해효소(ADH)에 의해 알코올이 분해되어 아세트알데하이드(ADLH)가 된다. 참고로 숙취가 발생하는 원인은 알코올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독성 물질의 일종인 아세트알데히드 때문이다.
알코올을 분해하기 위해 일을 하고 있는 간을 생각하지 않고 사람이 운동까지 한다면, 간으로서는 원투펀치를 맞는 셈이다. 간이 알코올을 해독하고 있는데 이 상태에서 운동을 하면 간은 알코올 해독과 당 생산을 동시에 수행해 피로도가 높아진다.
운동을 통해 산소와 에너지를 소모하면 피로물질인 젖산이 쌓인다. 젖산은 강도 높은 운동을 할 때 근육세포에서 에너지원인 포도당이 분해될 때 생성된다. 젖산은 근육을 피로하게 만들고 근섬유의 질을 떨어뜨린다. 이때 간은 젖산을 분해해 근육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역할은 많아졌지만 능력치에는 한계가 있다.
음주 해독을 위해 간이 활동하고 있는 사이에 사람이 운동을 해 젖산을 쌓는다면, 마신 술 해독하느라 지친 간이 운동 후 나온 피로물질까지 소화해야 하는 ‘입장’이 된다. 간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젖산의 제거가 늦어지고, 근육에도 피로물질이 쌓인다. 이것이 혈액을 타고 간으로 이동하면 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알코올 분해와 단백질 분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상황이 반복되면 간 기능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탈수 현상을 막기 위해서도 음주 다음날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음주 자체가 탈수를 부르는 행위다. 술을 마시면 이뇨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 몸속에 수분이 부족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무리하게 운동해 땀을 많이 흘리면 탈수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근육이 녹는 질병의 발병 위험도 커진다.
술 마신 다음날에는 운동을 쉬는 게 좋다. 음식과 수분 섭취에 신경 써야 한다. 운동을 꼭 해야 한다면 가볍게 걷기, 맨손으로 하는 스트레칭 등 저강도 운동이 좋다. 음주 후 수분이 부족한 상태에서 고강도의 운동을 했을 때, 근육 세포에 있던 물질들이 혈액 안으로 한꺼번에 배출되면서 장기를 손상시키는 무서운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
음주량을 떠나 다음날 운동은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좋다. 회복이 우선이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신장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은 더 주의해야 한다. 술자리를 늘릴수록 운동할 기회도 줄어들 수밖에 없는 셈이다. 몸의 건강을 지키는 것보다 소중한 것은 없다. 운동도 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수단이다. 건강 보다 소중한 운동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