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간 무탄소 추진 기술 개발
해양수산부는 15일 오후 부산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에서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사업 통합사업단’을 출범하고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가 선박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국제규제를 만족하는 친환경 선박과 관련 기자재들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기간은 오는 2031년까지 10년이며, 총사업비는 2540억원을 투입한다.
친환경 선박은 선박 엔진 연료 전환, 연료전지·배터리 등 전기추진 및 에너지 최적화 시스템 등을 탑재해 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차세대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해수부는 IMO 온실가스 배출규제 대응과 미래 선박 시장에서 신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2030년까지 수소·암모니아 기반 무탄소 추진 핵심기술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시험·실증 및 국제 표준화(ISO)와 IMO 의제 개발을 동시에 진행해 우리나라 기술이 세계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통합사업단은 개발 분야(산업통상자원부)와 실증 분야(해양수산부)로 구성했다. 개발 분야는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에서, 실증 분야는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주관한다.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속한 기술자문위원회를 통해 산업·학계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사업 내 기술개발 내용이 유기적으로 연계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송상근 해수부 차관은 출범식에서 미래선박 시장 선도를 위한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해운·조선 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해양수산부는 IMO 등과 협력해 우리나라 기술개발 결과물이 국제기준을 주도하고 세계시장을 이끌 수 있도록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