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비전선포식, 향후 10년 미래상 제시
총자산 20조원·선박금융 공급 1위 비전 공표
스마트해운물류 통합 플랫폼 구현·ESG 공공부문 최우수 목표
해운산업 재건을 기치로 탄생한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출범 5년 만에 새로운 10년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2030년까지 총자산 20조원을 달성, 선박금융 공급 1위, 스마트해운물류 통합 플랫폼 구축, ESG 공공부문 최우수 등급 획득을 달성하겠다는 비전을 세웠다.
해양진흥공사는 7월 19일 파크햐얏트 부산에서 ‘KOBC 2030 VISION 선포식’을 열고 ▲해운 재건을 넘어 해운산업 리더국가 도약을 목표로 하는 해운정책의 원활한 이행 ▲국제 환경규제 강화 ▲디지털 기반 경쟁 등 미래시장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목표로 미래상을 정립했다.
해양진흥공사의 이번 중장기 비전의 특징으로는 그간 선박금융 위주에서 항만물류와 친환경 연료공급 인프라·스마트 항만장비 등으로 금융 업무범위를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 해양 스타트업을 포함한 해양산업 전체로 확대해 나가겠다는 업무영역 확장 의지를 담고 있다.
또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와 국제 환경규제 대응을 위해 신조투자 프로그램 규모를 향후 30억 달러까지 확대하는 등 해운업 자산의 친환경 전환 지원사업을 강화한다는 데 방점이 찍혔다.
각종 규제에 국적선사가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규제동향 DB 구축, 민관 합동협의체 구성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시황 변동성이 큰 해운업의 불황기를 대비한 전략도 제시됐다.
중장기적으로 기업 구조개선 업무에 대한 법적 근거를 확보하고, 한국형 선주사업의 단계적 확대, 위기대응 펀드 조성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해운시황 예측과 분석 역량의 질적 향상, 해운항만물류 통합 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공사를 해운산업의 씽크탱크(think tank)로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다.
이날 행사에는 송상근 해수부 차관·안병길 국회의원·정태순 한국해운협회장·김경배 HMM 사장·김정훈 현대글로비스 대표·강신호 CJ대한통운 대표 등 정부·국회·해운·금융,·화주 분야를 대표하는 각계에서 참석해 공사의 새로운 다짐을 지켜봤다.
김양수 해양진흥공사 사장은 “지난 2018년 7월 해운산업 재건이라는 목표로 설립된 공사가 국민 성원과 해운업계의 도움으로 4년 만에 우리 해운업이 한진해운 파산 전의 위상을 회복하는데 기여했다”며 “2030년 해양진흥공사의 모습은 세계를 선도하는 해양금융 리더로, 해양산업의 성장에 필요한 금융과 정보를 적기에 공급하고, ESG 공공부문 최우수 등급을 받아 국민에게 사랑받는 공공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