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의사가 검사와 금융감독원 직원 등을 사칭한 범죄조직에게 속아 예금·보험·주식·가상자산 등 41억원 규모의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한 사건이 발생했다. 단일 사건 기준 공식적인 역대 최대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다.
23일 경찰에 따르면 최초 의사 A씨는 스스로 서울의 한 지방검찰청 검사라고 소개하는 일당의 연락을 받았다.
자칭 검사 B씨는 보이스피싱 범인이 A씨의 계좌를 보이스피싱 자금세탁용으로 썼다고 주장하며 협조를 하지 않으면 구속하겠다고 협박했다.
이 과정에서 B씨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통해 위조한 구속영장과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실제로는 검찰 등 수사기관이 카카오톡 약식조사 및 구속영장을 보내는 경우는 없다.
나아가 보안프로그램이라며 사이트 링크도 보냈다. 이 링크는 '악성 앱'과 연결된 링크였고, 그대로 해당 앱이 설치돼 A씨의 모든 개인 정보가 B씨에게 넘어갔다.
이후 B씨는 검찰수사관이 앞으로 조사를 진행한다고 알려줬다. 자칭 수사관은 대출을 실행해 실제 출금해야 명의가 범행에 연루됐는지 알 수 있다며 대출을 받아 지시하는 돈을 전달하라고 했다. 전달한 자금은 모두 확인하고 범죄 연관성이 없으면 돌려주겠다고도 했다.
결국 A씨는 대출을 실행했다. 기존 예적금, 보험 등을 모두 해약해 현금으로 마련한 뒤 여러 은행 지점을 돌며 현금을 인출했다. 현금을 모두 인출한 뒤 수사관이 지정한 장소에 갔더니, 이번엔 자칭 '금감원 직원'이 나와 있어서 현금을 전달했다. 계좌로도 돈을 보냈다.
피해 사실을 뒤늦게 안 A씨는 지난달 경찰에 신고했지만 범죄조직은 이미 A씨의 전 재산을 털어간 뒤 였다. 심지어 범죄조직은 아파트 담보대출과 개인차용 등으로 A씨에게 빚까지 떠넘겼다.
최근 이처럼 검찰과 금융감독원 등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에서 기관 사칭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37%로 작년 같은 기간(21%) 대비 크게 높아졌다.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가 두드러지게 증가한 것은 전화번호 변작, 악성 액 설치 등 수법이 더욱 교묘해져서다.
경찰청 관계자는 "수사기관은 영장이나 공문서를 절대 사회관계망서비스나 문자로 보내지 않는다"며 "특히 자산 검사 등을 이유로 현금·가상자산·문화상품권을 요구하면 100% 사기이므로 전화를 끊어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