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8~13% 하향 전망보다 하락폭 더 커져
생산 계획 축소되지 않으면 4분기까지 하락세 지속
올해 3분기 낸드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2분기보다 최대 18%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앞서 D램 하락에 이어 낸드플래시 가격 전망마저 어두워지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같은 국내 주요 메모리 반도체 기업 수익 하락 우려가 커진다.
24일 대만 시장조사업체인 트렌드포스는 수요 약세 여파로 3분기 낸드플래시 가격이 2분기보다 13~18%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체는 불과 한 달 전 3분기 낸드플래시 가격 추정치에 대해 8~13% 내릴 것으로 전망했는데 그보다도 하락폭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한 것이다.
트렌드포스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세계 경제를 약화시켜 다양한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가 2분기부터 하향 조정됐다"며 "서버 수요는 안정적이지만 재고 조정 기간이 도래하며 낸드플래시 시장 공급 과잉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품목별로는 내장형멀티미디어카드(eMMC)와 범용플래시저장장치(UFS)의 가격이 13∼18%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고, 기업용과 소비자용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가격은 기존 전망보다 각각 5%(기업용), 2%(소비자용)씩 증가한 10∼15%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3D 낸드 웨이퍼의 가격 하락폭은 기존 전망치와 비슷한 15∼20%에 달할 것으로 관측됐다.
트렌드포스는 제조사들의 생산 계획이 축소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이러한 가격 하락세가 4분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D램 가격 역시 큰 폭의 하락세가 예상된 바 있다. 트렌드포스는 최근 공급 과잉과 재고 증가로 3분기 소비자용 D램 가격이 2분기보다 13~18%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