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내 중진들 '권성동 사퇴론' 주장
權도 30일 '사퇴의사 표명' 가능성
새 원대에 김학용, 윤재옥 등 거론
"權 사퇴 결심, 내려놓는 시기 고심"
국민의힘 내부에서 새로운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권성동 원내대표 체제가 흔들리고 있다. 현 비대위 출범과 사실상 해산 과정에 책임이 있다는 점에서 사퇴는 불가피할 것이란 판단에서다. 이미 당내 일각에선 차기 원내대표 후보까지 거론되고 있어 새 원내대표 체제가 조기에 모습을 드러낼지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오는 30일 오전 10시 30분에 국회 본관에서 제106차 의원총회를 개최하겠다고 공고했다. 이번 의총은 국민의힘이 지난 27일 개최한 의총에서 의결한 새 비대위 구성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안을 논의하기 위해 소집됐다. 계획대로 당헌·당규 개정안이 논의될 경우, 비대위 구성이 가능한 요건에 '최고위원 절반 이상 사퇴' 또는 '선출직 최고위원들의 사퇴' 등 구체 조항을 삽입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당헌 개정안과 별개로 권 원내대표의 사퇴론이 분출될 가능성이 크다. 비대위가 사실상 해산 수순에 들어가면서 권 원내대표도 함께 물러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서다. 무엇보다 조경태·서병수(5선), 윤상현(4선), 김태호·하태경·안철수(3선) 등 당내 중진들이 이를 주도하고 점은 권 원내대표 입장에서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특히 국민의힘 전국위원회 위원장인 서병수 의원이 29일 공개적으로 새 비대위 출범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에 필수적인 전국위 및 상임전국위를 개최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권 원내대표의 계획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서 의원은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전국위 개최가 법원 판단에 정면으로 위배된다는 의견과 함께 권 원내대표의 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당내에선 새 비대위 구성 이전이냐 이후냐 시기의 문제일 뿐 권 원내대표의 사퇴는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당헌당규를 개정해 일단 비대위를 빠르게 구성해야 한다는 대안이나, 즉각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 상황을 수습해야 한다는 주장 모두 권 원내대표의 사퇴를 어느 정도는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소속 한 의원은 "현재 당내 분위기는 권 원내대표가 새 지도부를 구성한 이후 스스로 물러날 것이라는 의사를 분명히 해줬으면 좋겠다는 식으로 흘러가고 있다"며 "30일 의총에서 (권 원내대표가) 선제적으로 그런 뜻을 밝힐 수 있다"고 예상했다.
또 다른 의원은 "교섭단체연설 일정을 추석 이후로 미뤄놓은 것 자체가 현재 당내의 어지러운 상황을 수습하겠단 의지가 담긴 것"이라며 "새 비대위만를 구성하겠다고 하면 사실 그렇게까지 긴 시간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고 했다. 그러면서 "긴 텀을 두고 지도체제를 논의하겠단 것 자체가 새 원내대표를 뽑고, 지도부를 구성하겠다는 구상이 담겨 있는 것"이라고 추측했다.
사퇴론과 함께 이미 당내 일각에선 차기 원내대표에 대한 하마평까지 나오고 있다. 가장 먼저 물망에 오르고 있는 인물은 4선의 김학용(경기 안성) 의원이다. 김 의원은 과거 국민의힘 전신인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경선에 나섰던 경험이 있는데다, 계파색이 옅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또 3선 윤재옥(대구 달서구을) 의원 역시 차기 원내대표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윤 의원은 대선 당시 선거대책본부 부본부장 겸 상황실장을 맡아 정권 교체에 기여한 만큼 윤석열 대통령과의 접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현재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을 맡고 있는 만큼, 윤 의원이 원내대표로 선출될 경우 상임위원회 배분을 다시 해야 한단 점이 부담이다. 이외에 김상훈(3선·대구 서구) 의원도 잠재적인 원대대표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물론 현재로선 권 원내대표가 수습에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당장 사퇴하지 않을 가능성도 남아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권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의 결의를 존중해야 한다"며 일단 버티기에 나선 상황이다. 하지만 당내에선 언제가 됐든 사퇴가 불가피하다는 여론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권 원내대표가 100% 원내대표직을 내려놓는 것이 어떤 시기이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