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의 LH 임대주택이 전국 광역지자체 가운데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국토교통위 소속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오전 LH 국정감사에서 타 지역 대비 서울지역의 LH 임대주택이 크게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이 LH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지역 건설임대의 경우 인구당 관리호수 비율이 0.3%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인구의 1/5도 안 되는 충북과 비교하면 서울의 건설임대 주택수는 절반도 안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김 의원은 LH가 운영하는 서울의 임대주택 수가 심각하게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LH가 직접 매입한 매입임대는 2만3638가구로 조사됐다. 다만 타 지역 대비 월등히 많은 서울지역 임대수요를 감당하기에는 태부족하단 평가다.
김 의원은 "서울 및 도심 지역 역세권 임대주택을 짓는다고 국토부와 LH가 말한지 한참이 지났는데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며 "어렵게 상경해 고생하는 청년들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은 시급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LH는 소극적으로 임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서울 지역의 임대주택 대책을 만들지 못하면 정부의 주거복지 정책은 결국 공염불이 될 수밖에 없다"고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이에 이정관 LH 사장 직무대행은 "공감한다"며 "LH가 직접 서울 및 도심 지역 임대주택 문제 해결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세우겠다"고 답했다.